국제경제
6년 돈잔치 끝…신흥국 ‘불확실성의 시대’ 로 빠져들다
뉴스종합| 2014-10-30 11:12
美 돈줄죄기땐 신흥국 자금 썰물…원자재 약세 전환 자원부국 초긴장
국가별 경제체력 따라 투자 양극화…中 · 유로존 동반침체땐 퍼펙트스톰



6년 간의 화려한 돈잔치는 끝났다.

선진국발(發) 풍부한 유동성 장세를 구가했던 신흥국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완화(QE) 종료로 본격적인 ‘불확실성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관건은 미국의 QE 종료가 아니라 금리 인상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30일 “Fed의 다음 행보(금리인상)가 신흥시장을 강타할 수 있다”며 “지난 6년간 선진국에서 유입된 자금으로 인프라 개발와 기업 투자 등을 촉진했던 개발도상국이 Fed의 자산매입 중단으로 불확실성 시대에 뛰어들었다”고 보도했다.

▶QE종료, 자금 엑소더스?=신흥국은 지난해 5월 ‘버냉키 쇼크(벤 버냉키 Fed 의장의 양적완화 축소 시사)’로 외환, 주식, 채권 등 외환시장이 요동쳤던 ‘악몽’이 재연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미국의 돈줄 죄기가 본격화하면 달러가 강세를 띠면서 신흥국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에 중국 경기둔화와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 경기침체까지 겹칠 경우 신흥국은 ‘퍼펙트 스톰’에 직면할 수 있다.

노무라 증권의 롭 수드바라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는 금리인상을 오랫동안 보지 못했다”며 “만일 Fed 매파 성향을 띠면서 금리를 빠르게 올리면 신흥국은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쉬로더의 크레이그 보담 이코노미스트는 “특히 취약한 곳은 채권시장”이라고 지적했다.

신흥국 채권시장은 양적완화 자금이 유입되면서 국채와 회사채 발행 러시를 맞았다. 그러나 양적완화 종료와 금리인상으로 자금 엑소더스가 현실화하면 채권시장이 붕괴될 수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신흥국 채권시장의 외국인 보유는 2007년 8%에서 2012년 17%로 두배 이상 늘었다. 또 신흥국 증시는 같은 기간 16조달러로 33% 팽창했다.

▶美긴축에 원자재 약세 ‘설상가상’=10년간 랠리를 보였던 원자재 약세 전환은 미국의 긴축과 함께 신흥국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원자재는 달러화로 결제되기 때문에 미국의 긴축에 따른 달러 강세는 원자재 표시가격을 끌어올려 바이어들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

이는 다시 원자재 수출국에 더 낮은 가격을 책정하도록 압력을 주는 요인이 된다. 브라질과 러시아, 칠레와 같은 자원 수출국이 긴장하는 이유다.

이미 원자재 약세는 신흥국 경제 전망을 낮추고 있다. 국제금융연합회(IIF)에 따르면, 아시아 신흥국의 경제성장률은 3분기 7%에서 4분기 6.8%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유럽의 신흥시장은 4분기 경제성장이 2.9% 축소될 것으로 나타났다. 남미만 유일하게 같은 기간 1.2%에서 2%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원자재 가격하락은 신흥국 경제는 물론 정치 불안까지 야기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드바라만은 “원자재 가격의 지속 하락은 개혁이 담보되지 않는한 잠재 경제성장의 영구 추락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원자재 랠리로 생겨난 새로운 중산층 붕괴를 우려하면서 “경제정책에 악영향을 주는 정치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버냉크 쇼크 ‘학습효과’ 볼까 =신흥국 신흥국 QE종료 파장은 지난해 버냉키 쇼크 ‘학습효과’와 Fed의 ‘선제안내’로 각국의 경제 여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취약 5개국으로 지목된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브라질, 인도네시아는 올해 각기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구조개혁 속에 경상수지 적자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인도 루피화는 상대적 강세를 유지하는 반면, 원자재 가격 하락 ‘역풍’에 브라질 헤알화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신흥국 경제체력에 따라 통화 투자가 양극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FT도 “신흥국 주가와 채권 가격은 지역 경제의 기초체력을 더 많이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아울러 “미국의 긴축과는 반대로 일본과 유럽이 돈풀기를 지속하고 있는 만큼 “결코 풍부한 유동성 시대가 끝났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FT는 덧붙였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