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안전한 선체 인양작업 최대 과제…무리하다간 또다시 불행
뉴스종합| 2015-04-16 11:06
여야 ‘ 선체인양 결의안’ 본회의 처리
1000억~2000억 인양 비용도 부담되지만
잠수전문가들 안전사고 우려 적지않아
90도 꺾인 선체 물 저항받아 위험 노출



“세월호 선체를 인양하더라도 무엇보다 ‘안전’에 만전을 기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세월호 참사가 우리 사회의 안전 불감증에서 비롯됐는데, 인양 과정에서 사고가 난다면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 분들도 설 자리가 없어질 것 아닙니까?”

지난해 세월호 참사 현장에서 수많은 희생자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낸 백성기(54) 88수중 잠수감독관은 16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세월호 참사가 빚어진 지 1년이 지났지만 이 사고를 둘러싼 갑론을박은 한국 사회에서 현재 진행형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세월호 선체 인양과 진상 규명.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이한 이날, 국회는 여야 의원 158명이 제출한 ‘세월호 선체의 온전한 인양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본회의에서 처리할 예정이다. 
팽목항 방파제에 만들어진 ‘기억의 벽’, 전국에서 보낸 그림 타일 4600여장을 이어 붙였다. 배두헌 기자/badhoney@heraldcorp.com

그러나 1000억~2000억원 가량으로 추정되는 선체 인양에 드는 비용 부담과 인양 도중 안전 사고가 벌어질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적잖다.

백 잠수사도 선체 인양은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안전 사고에 대해선 염려가 크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현장에서도 11명의 동료 잠수사와 소방대원을 수색 작업 중 떠나보내야만 했다.

그는 “지난해 우리가 작업했을 때도 이미 선체의 문에 변형이 오는 등 선체가 찌그러들고 있었다”면서 “선체가 90도로 꺾여있는 상태에서 물의 저항을 다 받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자칫 무리한 작업으로 인해 안전 사고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5월 30일 백 잠수사의 동료 이민섭 씨가 현장 투입 4일만에 숨지기도 했다.

백 잠수사는 “당시 잠수할 수 있는 시간이 적어 잠수사들도 조급해하고 있던 와중에 수중에서 선체 절단작업을 맡은 이 씨가 가스폭발로 숨졌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과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선 앞으로 남은 인양 작업도 안전이 최우선”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백 잠수사는 세월호 참사 1주기인 이날도 바다에 나와 있었다. 그는 최근 주전자를 닮았다 해 주전자섬이라고도 불리는 부산 태종대 앞 생도(生島)에서 가라앉은 선박을 인양하는 작업에 한창이다.

“바다에 찾아온 봄 기운이 작년 이맘때를 떠올리게 한다”고 입을 연 백 잠수사는 “최선을 다해 수색했지만, 끝내 실종자를 다 찾지 못해 개인적으로 정말 아쉽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지난해 5월부터 수중수색 철수일인 그해 11월 11일까지, 진도 앞바다 바지선에서 생활하며 희생자들의 시신을 인양했다.

인양 작업 초기, 잠수병으로 병원에 잇달아 실려가는 잠수사들을 보며, 이들을 도와 희생자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야겠단 생각을 했다.

해양수산부에서 인양 작업에 참여해달라는 제안을 받았을 때 고민조차 하지 않고 받아들인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오랜 시간 축적한 잠수 경험과 자신감도 결심의 밑거름이었다.

이후 시신이나마 희생자들을 품에 끌어안겠다는 유가족들의 바람을 이뤄주기 위해 적잖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수심 33m에서 30분, 40m에선 20분이던 잠수 시간을 각각 120분, 60분으로 늘릴 수 있었다.

사고 초기 희생자 인양 작업에 투입됐던 민간구조업체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와 해군이 27번 들어간 곳에서 희생자를 찾아 가족에게 돌려 보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잠수사들은 유가족들 앞에선 늘 ‘죄인’일 수밖에 없다. 심혈을 기울여 참사 현장을 수색 했지만, 하루아침에 가족을 잃고 팽목항에서 나와있는 이들 앞에 서면 가족을 찾아주지 못했다는 사실에 고개가 자꾸만 땅으로 떨어졌다. 유가족들에게 원망 아닌 원망을 듣기도 했다. 백 잠수사는 이런 이유로 “팽목항에서 철수한 뒤 단 한 번도 그곳을 찾지 않았다”고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박혜림ㆍ양영경 기자/rim@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