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12년前 사스와 다른 4가지 이유
뉴스종합| 2015-06-04 11:05
①전파속도 엄청 빨라 악화일로
②정부대처 무사안일 불신 고조
③국제사회 평가선 “오염국” 오명
④스마트폰·SNS 통해 불안 가중



사망 2명, 환자 35명, 격리 1300여명, 휴원ㆍ휴교 703곳…’

우리나라에서 사망자와 3차 감염자까지 발생시킨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는 지난 2003년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갔던 사스(SARSㆍ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전파속도, 정부대처 수준, 국제적 평가, 불안심리 등을 따져봤을 때 메르스 비상사태는 사스 때와는 차원이 다르다는 분석이다.

일단 사스는 다른 나라를 초토화시켜 위력을 과시했지만 다행히 우리나라에선 미풍에 그쳤다. 국내 감염자가 4명뿐이었고 사망자도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엔 메르스로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뿐더러 하룻새 5,6명의 감염자가 추가되며 4일현재 35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감염 우려로 전국 544개 유치원과 학교과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

통계상 치사율도 사스에 비해 현저히 높다는 점도 공포심을 부추기고 있다.

감염시 사망 확률이 14%인 사스보다 메르스는 3배가량 높은 40%에 달하고 있다.대신 사스의 전파 가능성은 환자 1명당 3명인 반면 메르스는 1명당 0.6명 정도다. 하지만 단 며칠새 발생된 감염자수와 격리자수를 생각하면 전파의 체감 속도는 훨씬 빠른 상황이다.

정부 대처 수준도 확연한 차이를 보여 사스 때와는 달리 보건당국에 대한 불신 의식이 고조된 상황이다.

12년 전 사스 경보 때는 고건 당시 국무총리 지휘 아래 정부의 컨트롤타워가 구성돼 국가적 재난으로 발전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차단했다.

하지만 이번엔 메르스 감염자가 발생했음에도 보름 후에야 관계 부처 장관회의가 개최됐다. 또 심지어 최초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에게 지침만 주고 스스로 이를 지키게 하는 방식으로 자가(自家) 격리 조치하는 ‘우’를 범하기도 했다.

밀접 접촉자들을 직접 통제하지 않고 자가 격리한 것은 보건당국이 직접 통제할 만큼 메르스의 전염성이 크지 않다는 착오에서 비롯됐다.

우리나라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도 사스 때와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2003년 한국은 세계로부터 모범적인 방역국가라는 찬사를 받은 대신 중국은 전역으로 사스가 퍼져나가는 과정에서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가 중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눈치를 보게 된 상황이 됐다. 심지어 의심 환자가 중국으로 출국하도록 방치해 나라 망신을 초래했다.

12년이 흐르는 동안 스마트폰,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도 등장했다.

이로써 사스 때와는 달리 괴담성 유언비어가 확산되는 속도도 비약적으로 빨라져 감염 위험에 대한 집단적 포비아(phobia·공포심)가 새로운 위협 대상으로 등장했다.

곽금주 서울대 교수(심리학)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정부 불신과 함께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는 인식이 높아져 사회적인 불안감의 크기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경원 기자/gil@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