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쉼표] 遺憾·悔悟·痛惜
라이프| 2015-08-31 11:46
‘유감(遺憾)’. 지난주 3박4일 간의 마라톤 회담 끝에 북한이 남한에 한 사과의 한마디다. 곧 이 어려운 한자어가 포털 검색어 1위에 올랐다. 젊은 층 입김이 센 포털에서 이례적이다. ‘유감’이 사과냐, 아니냐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공식적으로는 ‘사과’라고 발표됐고, 여론몰이도 됐지만, 온라인상에서는 “사과가 아니다”로 기운 분위기다. 국어사전에는 ‘마음에 차지 아니하여, 섭섭하거나 불만스럽게 남아 있는 느낌’이라고 나온다.(개인 생각 “사과 아니다”)

‘회오(悔悟)’. 얼마 전 일본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오른 단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 14일 ‘전후 70년 담화’에서 썼다. “어떠한 무력의 위협이나 행사도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두 번 다시 써서는 안 된다.(...) 과거 전쟁에 대한 깊은 회오의 염(念)과 함께 일본은 그렇게 맹세했다” 일본인들에게도 생소하니, 검색어 1위에 올랐을 터다. ‘유감’보다는 사과의 성격이 짙다. 국어사전에는 ‘잘못을 뉘우치고 깨달음’이라고 돼 있다.(개인 생각 “뜻은 사과 맞다. 하지만 대상을 특정하지 않았고, 조선인 위안부 등 민감한 사안은 비껴갔다”)

‘통석(痛惜)’. 지난 1990년 아키히토 일왕이 한국에 사과하면서 쓴 표현이다. 아베 총리도 지난 14일 담화에서 ‘회오’와 함께 이 말을 다시 썼다. 예나 지금이나 흔치 않은 표현이다. 그러니 1990년 당시에도 사과냐, 아니냐를 놓고 논란이 분분했다. 한국은 ‘유감’ 정도로 받아들였지만, 일본은 사죄의 뜻도 담긴 것이라고 강변했다. 국어사전에는 ‘몹시 애석하고 아깝다’로 나온다.(개인 생각 “사과 아니다”)

사과 받기 쉽지 않다. 사과인지, 아닌지를 사과 받은 사람이 곱씹어봐야 하는 참 통석한 현실이다.

김필수 라이프스타일섹션 에디터


pils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