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항저우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박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으로 이동해 아세안(ASEANㆍ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와 라오스 공식방문 일정에 돌입한다.
박 대통령은 6일 오후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 한미정상회담이 라오스에 도착하는 대로 오늘 오후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전날 북한이 발사한 3발의 탄도미사일을 비롯한 최근 북한의 도발ㆍ위협에 대해 경고메시지를 보내고 향후 대응방안을 중점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
박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도 7일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 이어 한반도 주변 4강과 모두 정상회담을 하게 되는 셈이다.
박 대통령은 한ㆍ아세안 정상회의와 아세안+3,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등을 통해 한국과 아세아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강화 방안을 협의하고 북한ㆍ북핵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강조할 예정이다.
반환점을 돈 순방은 경제ㆍ외교적인 측면에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며 빛을 발했으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와 관련해선 중국과 후속 협의를 이어가기로 하면서 ‘빚’을 남겼다.
박 대통령은 첫 번째 방문국인 러시아에서는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평양의 자칭 핵보유 지위를 용인할 수 없다”는 발언을 이끌어내는 등 북한의 우방국인 러시아와 북핵공조에서 진전을 거뒀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키로 하고 경제분야 21건을 포함한 24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함으로써 정체됐던 양국 경제교류 확대의 시동을 걸었다.
두 번째 방문국인 중국에서는 G20 정상회의 주요세션에서 사례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의견을 제시해가며 혁신, 포용적 성장, 구조개혁, 자유무역 등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를 주도했다.
특히 박 대통령이 우리의 창조경제를 포용적 성장의 새로운 모델로 제안한 내용은 정상선언문과 혁신 액션플랜에 반영되기도 했다.
반면 순방 전부터 관심을 모았던 사드 문제에서는 아쉬움을 남겼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사드 문제를 공식 언급하지 않은 것과 달리 시 주석은 박 대통령에게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
박 대통령은 “제 넓지 않은 어깨에 5000만 국민의 생명과 안위를 책임져야 한다는 막중한 사명감이 있다”며 사드 배치의 불가피성을 설득했지만, 시 주석은 “우리는 미국이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는 것에 반대한다”며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다만 한중 간 전략적 소통체제와 향후 다자회의 계기 회담, 그리고 한ㆍ미ㆍ중 소통 등을 통해 사드 관련 후속 협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함으로써 대화를 통한 해결의 여지를 만들었다는 점은 평가할만한 대목이다.
시 주석이 한중 정상회담에 앞서 이미 G20 개회사와 미중 정상회담 등을 통해 사드 반대 입장을 밝힌 상황에서 극단적인 충돌로 치닫지 않고 상황을 관리하며 한중관계 발전에 대한 공감대를 끌어낸 것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니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국의 사드에 대한 입장은 예견된 것이었다”며 “양 정상이 직접 만나 양측의 입장을 듣고 향후 소통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했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