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과학기술 정부출연硏…청년인턴 3800여명…정규직 채용은 3명뿐
뉴스종합| 2016-12-14 11:27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이공계 분야 일자리 창출과 국가전략 분야 우수 인력 양성을 위해 실시하는 청년인턴제도가 정규직 전환으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출연연에서는 채용형 청년인턴 채용이 의무사항이 아닌데다 높은 수준의 연구업무 특성상 청년인턴들에게 업무 부여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출연연의 신규 채용에서 장애인 고용 실적이 크게 떨어져 장애인들한테는 출연연 취업이 ‘넘사벽’이 되고 있다. 


14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와 NST 산하 24개 연구기관(국가보안기술연구소 제외) 등 25개 출연연이 채용한 청년인턴은 685명으로 모두 ‘체험형’ 청년인턴이었다. 보통 4분기에 청년인턴 채용이 거의 없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728명보다 채용 규모도 줄어들었다.

지난 2011과 2012년 각각 428명, 385명을 채용했던 이들 25개 출연연은 ▷2013년 730명 ▷2014년 837명으로 채용규모를 대폭 늘렸다. 그러나 이후 2015년 728명, 2016년 3분기 현재 685명으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국가핵융합연구소와 세계김치연구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6개 출연연은 올해 청년인턴 채용이 전무하다.

문제는 청년인턴의 정규직 전환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국가핵융합연구소만이 지난해 ‘채용형’ 청년인턴을 3명 선발해 모두 행정 정규직으로 전환한 것을 제외하면 24개 출연연은 최근 6년동안 단 한 명도 청년인턴을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았다. 최근 6년간 채용한 전체 청년인턴 3793명 중 단 3명만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처럼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의 청년인턴 정규직 전환이 적은 것은 출연연이 석ㆍ박사 연구원 중심으로 인력을 운영하는 특성을 고려해 기획재정부가 일반 공공기관에 적용되고 있는 청년고용 3% 의무, 채용형 청년인턴제 도입 대상에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을 제외시켰기 때문이다.

또 연구가 주업무인 출연연에서 단순 업무를 도맡는 청년인턴이 실험현장에 큰 도움이 안 되고 있는 점도 이유로 꼽힌다. 출연연의 한 관계자는 “채용형 청년인턴이 의무적이지 않은 데다 설령 체험형 청년인턴을 계약직으로 채용하더라도 이렇다 할 업무를 부여하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들 25개 출연연이 최근 6년동안 모두 3280명을 신규 채용하면서 장애인 고용은 11명에 그쳐 대부분의 출연연이 장애인 의무 고용율 3%를 크게 밑돌고 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장애인 고용에 솔선수범해야 할 정부 출연연이 장애인 고용을 외면한다면 장애인들의 사회적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며 “출연연 특성상 장애인 채용에 한계가 있다면 연구기획 단계부터 장애인 연구 과제를 적극 반영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세환 기자/gre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