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포럼
[헤럴드포럼-조현용 경희대 국제교육원장] 유학의 뒷모습
뉴스종합| 2017-03-10 12:32
‘유학’이라는 단어는 한자로 쓸 때 두 가지 방법으로 쓴다. 예전에는 유학(遊學)을 많이 썼는데 요즘은 유학(留學)을 더 많이 쓰는 듯하다. 후자 유학이라는 글자는 머무를 유(留) 자를 써서 타지에 머물며 공부한다는 의미다. 반면 전자는 놀 유(遊) 자를 쓴다.

‘머무를 유’ 자를 쓴 유학에는 머무르는 것 외에 다른 느낌은 나지 않는다. 하지만 ‘놀 유’ 자를 쓴 경우에는 즐거움이 느껴진다. 실제로 즐겁게 보고 듣고, 여행하고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에 나가서 공부하는 것이니 책상 앞에서만이 아니라 곳곳을 다니면 배워야 하리라. 글자만 봐도 배움이 즐거운 것이라는 교훈을 들려주는 듯하다.

하지만 유학이 그렇게 쉽고 재미있는 일만은 아니다. 큰 꿈을 안고 유학을 왔지만 금방 꺾이게 되는 경우도 많다. 언어의 벽은 때때로 극복할 수 없는 높이에 있다.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기도 한 차별은 유학 내내 힘들게 한다. 아파서 서럽고, 혼자라서 서러운 경우도 많다. 눈물을 한바탕 쏟고 나야 병이 낫고 한 뼘 성장하게 된다.

자식의 유학은 부모에게도 트라우마로 남는 경우도 많다. 어떤 부모는 자식이 유학을 떠난 후 한동안 공항에 가지를 못했다고 한다. 늘 마중은 나가는데 배웅은 못 간다. 만남은 좋지만 그만큼 헤어짐이 힘든 것이다. 자식을 두고 떠나오기가 힘들어서 외국에 있는 자식에게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아이를 두고 떠나오면 오랫동안 눈에 밟힌다. 참을 수 없어 어깨를 들썩이며 흐느낀다. 자식에게 보이지 않으려 돌아서서 말이다.

학교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오리엔테이션이 있었다. 신입생들의 생기가 학교 안에 가득하다. 젊음은 좋은 거다. 도전의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얼마나 걱정도 되겠는가. 새 꿈을 갖고 낯선 곳에 왔지만 앞으로 닥칠 일이 쉽지 않을 것을 안다. 실제로도 많은 학생이 끝내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가게 된다. 아쉬운 일이다.

학생들에게 나는 인사말을 했다. 문득 학생들에게 부모님 이야기를 해주고 싶었다. 얼마나 자식들을 걱정하고 있겠는가. 공항에서의 이별은 어땠을까.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공항이 눈물바다였다고 한다. 할머니, 할아버지부터 친구들까지 눈물의 이별이 이뤄진다.

학교 근처에 나갔다가 여기저기 몇 명씩 무리를 지어 다니는 학생들을 보게 됐다. 보아하니 집을 구하러 다니는 외국인 학생들이었다. 복덕방 주인과 함께, 때로는 집주인과 함께 여기저기 다니는 모습이 왠지 짠했다. 이제 부모님이 해주시는 밥은 안녕이다. 학생들의 모습에서 설렘과 걱정이 느껴진다. 학생들이 좋은 집주인을 만나고, 편안한 환경에서 살기를 바란다.

외국인 유학생에 국한된 얘기는 아니다. 유학이 단순히 ‘머무르는 배움’이 아니라 좀 더 능동적으로 즐기며, 씩씩하게 살아가는 유학이길 바란다. 주변 친구들이나 학교 선생님들도 더 따뜻한 마음으로 돌보아 주었으면 한다. 어찌 보면 즐거운 유학이라는 것은 주변 사람의 책임도 있으니 말이다. 유학생들 모두 부디 행복하시라.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