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레질 등 사소한 일상생활서 발생
-무릎통증있거나 ‘뚝’소리 나면 의심
-연골퇴화 시기 중년여성일수록 취약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 63세 여성 박모씨는 따뜻해진 날씨에 산책을 하다가 갑자기 무릎에 통증이 찾아왔다. ‘뚝’ 소리가 났지만 특별한 느낌이 없었던 박씨는 평소 아팠던 무릎 통증이 갑자기 심해졌나보다 생각하며 무심히 넘겼다. 하지만 통증은 심해지지도 나아지지도 않았다. 결국 박씨는 병원에서 MRI를 촬영하고 반월연골판이 손상됐다는 진단을 받고 운동과 약물치료를 처방받았다.
슬관절이라고 부르는 무릎 관절은 크게 대퇴골, 견골, 슬개골 등 세 개의 뼈로 구성돼 움직이고 체중 부하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 관절들은 많이 쓰다보면 닳게 되는데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뼈끝 관절면에 관절 연골이 덮여있다. 이 관절 연골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 ‘반월연골판’이다.
무릎 관절 이미지. |
반월연골판의 가장 큰 역할은 무릎에 부하되는 하중을 받쳐주고 무릎 관절을 안정적으로 잡아 관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 역할을 한다. 흔히 연골이 파열됐다고 할 때의 연골은 이 ‘반월연골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젊은 사람들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반월연골판이 파열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중년의 경우는 다르다. 점진적으로 닳아가던 반월연골판이 평소에 과하지 않은 힘에 의해서도 약해진 부분이 파열되기 쉽다.
특히 퇴행성의 경우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반월연골판 파열이 발생한다. 집에서 청소를 하다가, 걸레질을 하려고 무릎을 쭈그리다가 뚝 하는 느낌이 생기고 통증이 지속되기도 한다. 길을 가거나, 횡단보도에 발을 내딛거나, 계단을 내려가거나, 지하철에서 방향을 갑자기 전환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반월연골판이 쉽게 파열될 수있는 것이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50대 이상 중년을 대상으로 무릎 MRI를 촬영한 결과 약 35%에서 우리가 흔히 연골이라고 부르는 ‘반월연골판’에 손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이나 증상이 없어도 중년에서 반월연골판 손상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장기모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손상이 더욱 많은데 중년 여성이라면 반월연골판 손상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일상생활에서 쉽게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무릎에 통증이 있고 평소보다 무릎이 붓는다면 가볍게 여기지 말고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중년여성의 반월연골판 파열을 치료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얼마나 진행돼 있는지, 반월연골판이 파열 상태가 만성인지 급성인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젊은 환자의 급성 반월연골판 파열인 경우 가능하면 봉합수술을 선택하지만 중년 이후의 환자들 중 퇴행성 관절염이 3단계 이상 진행됐거나 파열 자체가 만성적인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우선하기 보다는 보존적 치료를 실시한다.
처음에는 급성증상에 대해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 소염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거나 지팡이, 목발 등으로 무릎에 부하를 줄여 증상을 줄여주고 증상이 조금 감소할 때부터 하체나 몸통 특히 허벅지의 근력을 강화하면서 퇴행을 예방하는 것을 기본적인 치료로 한다.
장 교수는 “중년 이상의 반월연골판 파열은 이미 만성적으로 파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를 우선으로 하기 보다는 증상을 조절하며 현재의 상태에 적응을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