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정부의 규제 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년 주택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수도권보다는 지방의 가격 하락 가능성이 더 높다는 지적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9일 강남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18년 건설ㆍ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의 주택 매매와 전세가격은 올해보다 각각 0.5%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매매가격은 1.3%, 전세가격은 0.6% 상승할 것으로 추정됐는데, 내년엔 모두 내림세로 전환한다는 관측이다.
매매 시장의 경우 수도권의 주택가격은 보합을, 지방의 주택가격은 1.0%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오픈애즈] |
건산연 허윤경 연구위원은 “내년 부동산 시장의 3대 리스크는 금리인상 등 유동성 축소와 수요 위축, 주택 준공 물량 증가”라며 “이러한 리스크 확대로 기존 주택 소유자들은 관망하고 신규 매수자는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거래량과 분양물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원은 지방 주택 공급 과잉 지역의 역전세난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 위원은 “지난 2년 전 전세가격 상승률이 빠르게 둔화하면서 지방의 역전세 리스크가 커지고 있고 세종과 경북ㆍ충남ㆍ경남 등지에서는 이미 역전세난이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울산ㆍ경남 등지는 지역 경제의 신용위험과 주택경기 위험이 연쇄적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커 적극적인 금융지원과 주거불안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허 위원은 “지방 시장의 어려움을 고려해 청약위축지역 정책 등 국지적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서울의 주거용 부동산은 금리 상승압박 등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안전자산으로 인식이 강화되고 있어 내년에 거래는 줄어들더라도 가격은 강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주택시장의 인허가 물량은 40만가구, 분양물량은 25만가구로 올해(55만가구, 34만가구)보다 각각 27%, 26%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허 위원은 “신혼희망타운 등 양호한 입지의 청약 열기는 지속되겠지만 준공이 많은 기타 지방은 위축되는 등 차별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건설 수주 물량은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와 민간 주택경기 하락 등으로 최근 4년 내 최저 수준인 133조원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건산연 이홍일 연구위원은 “주택을 중심으로 민간 건설경기가 빠르게 하락세를 보이는데다 공공부문의 발주 감소로 향후 건설경기의 경착륙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경착륙을 막기 위해 부동산 대책의 수위를 조절하고 SOC 예산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