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27㎥ 스모그 방 만든다…올해 미세먼지 연구에 126억 투자
뉴스종합| 2018-01-25 10:01
- 대기와 더 유사한 환경서 미세먼지 발생 원인 연구
- 미세먼지 발생 ㆍ유입, 측정ㆍ예보, 집진ㆍ저감, 국민생활ㆍ보호 등 4개 부문 연구
- 총 126억 투자 전년 대비 5% ↑
- 미세먼지 생성 메카니즘 연구에 가장 많은 50억 투자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정부가 과학기술을 통해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올해 126억원을 투자한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범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미세먼지 국가 전략 프로젝트 사업단’의 올해 사업 시행계획을 25일 확정, 발표했다.

사업단의 올해 사업비는 작년보다 5% 늘어난 것으로 연구 분야별 투자 규모는 ▷발생ㆍ유입 50억원 ▷측정ㆍ예보 23억원 ▷집진ㆍ저감 25억원 ▷ 국민생활 보호ㆍ대응 18억원 ▷사무국 운영ㆍ성과 확산 10억원이다.

소형 스모그 챔버 모습[제공=KIST]

지난해 출범한 사업단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기계연구원, 서울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10개 연구기관 500여명의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다.

사업단은 미세먼지의 발생ㆍ유입, 측정ㆍ예보, 집진ㆍ저감, 국민생활 보호ㆍ대응 등 4개 부문별로 나눠 연구를 진행한다. 정부는 2020년까지 사업단에 연구비 총 492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올해 동북아 미세먼지 입자의 생성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27㎥ 규모의 중형 스모그 챔버(Smog Chamber)를 구축하기로 했다. 현재 KIST에는 6㎥ 소형 스모그 챔버(방)가 구축돼 있다. 스모그 챔버는 미세먼지가 대기 중에서 생성되는 과정을 인위적으로 실험할 수 있는 장비다.

중형 스모그 방이 만들어지면 대기와 더 유사한 환경에서 미세먼지의 발생과정을 알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중형 스모그 방 구축에 15억원을 배정했다.

독자적으로 한반도의 대기질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항공 관측시스템도 구축된다. 여기에는 12억원이 투자된다.

미세먼지 입체 관측망을 활용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해 예측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도 지속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미세먼지 단기 예보정확도를 2016년 69%에서 2020년까지 74%로 높인다는 목표다.

사업장의 미세먼지 배출 저감에 필요한 제철소 실증 기술 확보를 위한 설비 제작에 20억원을 쓰기로 했다.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변환ㆍ저감하는 초발수ㆍ초발유 필터소재 개발 등 원천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국민 생활 보호ㆍ대응 분야 연구는 실제 주택 환경에서 생활보호제품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실환경 평가 인증규격(안)’을 제시해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환기설비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포럼, 미세먼지 관심사를 수렴할 수 있는 시민 3분 발언대, 미세먼지 파수꾼 양성교육(1000명 이상) 등 대국민 소통 창구도 제공할 예정이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국장은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 확대로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bonsa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