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국내 공연 콘텐츠의 공급은 서울에 몰려 있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막을 올린 작품 5291편 중 3094편(58.4%)이 서울에서 공연됐다. 상연횟수 역시 총 5만 2171회 중 4만 768회(78.1%)가 서울로, 극심한 쏠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는 목표와 좋은 공연을 지역 무대에서도 소개하고자 하는 필요가 맞물리면서 최근 ‘민관 공동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다. 제작사 입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예술단체에서 예산, 공간 등을 지원받아 안정적 환경에서 창작에 몰두할 수 있다. 공공기관 입장에서는 공동 제작한 작품을 관내 극장에 올려 지역민들의 문화 갈증을 해소하고, 국내외에 지역을 홍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윈윈(win win)’이다.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주는 제작사는 앞서 ‘빈센트 반 고흐’ ‘파리넬리’ ‘살리에르’ ‘라흐마니노프’ 등 특정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뮤지컬을 선보여온 HJ컬쳐다. 2016년 의정부예술의전당과 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컬쳐쇼 ‘별의 전설: 견우직녀성’을 선보인 이후 여러 지역과 ‘문화 협업’을 구축해 올해만 3편의 뮤지컬 공연한다.
먼저 안양문화예술재단과 만든 ‘존 도우’<사진>가 지난 1일 서울에서 막을 올렸다. 리딩 공연, 프리미어 콘서트 등을 통해 완성도를 높인 작품은 5월 안양아트센터에서도 관객을 만난다. 세종대왕 즉위 600돌을 기념해 여주시와 제작한 ‘1446’은 여주 세종국악당 트라이아웃, 영국 웨스트엔드 워크숍을 거쳤으며 10월 서울에서 정식 공연된다. 대전예술의전당과 손잡고 만드는 ‘파가니니’ 역시 음악회, 쇼케이스 등을 거쳐 12월 개막 예정이다.
지역에서 우수한 창작진을 섭외해 직접 제작에 뛰어드는 사례도 있다. 뮤지컬 ‘더 넥스트 페이지’, 오페라 ‘신데렐라’ 등을 자체 제작해온 안산문화재단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로 주요 뮤지컬 상을 휩쓴 박해림 작가, 오세혁 연출과 ‘전설의 리틀 농구단’을 만들었다. 2016년 쇼케이스, 2017년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초연, 중국 ‘베세토연극제’ 초청 공연 등을 마친 작품은 서울로 진출해 지난 9일부터 관객을 만나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뮤지컬페스티벌이 제작한 뮤지컬 ‘투란도트’도 빠트릴 수 없다. 2011년 초연 이후 대구, 서울에서 공연된 이후 중국 5개 도시를 투어하며 해외에서도 주목받았다. 현재 슬로바키아 국립극장과 라이선스 계약을 진행 중이며 추후 체코, 헝가리 등 동유럽권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뉴스컬처=양승희 기자/yang@newsculture.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