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째
고용ㆍ물가 모두 부진
완화 조정 여부 ‘신중히 판단’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5%로 동결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째 동결이다. 고용지표가 악화된데다 내수 부진에 따른 물가 하락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31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1.5%로 동결했다.
지난해 11월 금리를 1.25%에서 1.5%로 0.25%포인트 올린 이후 9개월째 동결이다.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도 금리 동결을 선택한 것은 악화된 경제 여건이 주요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우선 7월 고용지표가 ‘쇼크 수준’으로 나오면서 정부는 물론 국민들의 충격이 컸다. 통계청은 지난 17일 7월 취업자수가 전년 동월 대비 5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 1월 이후 최저치다.
금통위도 “고용 상황은 취업자 수 증가폭이 크게 축소되는 등 더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고용지표 악화 뿐 아니라 내수소비 둔화도 기준금리 동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향후 경기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에서 자영업자 지수는 79에 그쳤다. 이는 봉급생활자(91)보다 12포인트나 낮은 수치다. 이 같은 격차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8년 7월 이후 최대 폭이다. 자영업자와 봉급소득자의 CSI 격차가 커졌다는 것은 그만큼 내수 소비가 둔화됐다는 점을 방증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금통위도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하는 주요한 이유로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무역분쟁과 신흥국 불안 역시 한은의 발목을 잡은 요소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무역분쟁을 멈추지 않으면 향후 수출 전망이 긍정적일 수는 없다. 수출이 우리 경제 성장의 주요 축 중에 하나다 보니 그만큼 경제성장 전망이 암울해 질수밖에 없다.
금통위도 통화정책 완화정도의 추가 조정여부를 판단할 요건으로 주요국과의 교역여건과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ㆍ경제 상황 등을 꼽았다.
carrie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