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육체노동 정년 30년만에 60→65세로?…대법 오늘 결론
뉴스종합| 2019-02-21 08:09
[연합]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대법원이 오늘(21일) 육체노동자의 노동가동연령을 30년만에 60세에서 65세로 상향조정할지에 대해 세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이는 판례를 바꿔 육체노동 정년을 65세까지 상향할 경우 노동계와 산업계등 사회 전반에 미칠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대법원은 전원합의체는 21일 오후 2시 대법원 대법정에서 박 모씨가 수영장 운영업체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소송 상고심을 선고한다.

이 소송은 2015년 8월 수영장에서 익사 사고로 아이를 잃은 박씨가 수영장 운영업체를 상대로 제기한 것으로, 배상액을 산정할 때 사망한 피해자의 노동 가동연령을 65세로 볼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됐다.

법원이 판단한 노동 가동연령에 따라 수영장 운영업체가 배상해야 할 위자료 액수는 달라지기 때문이다.

1·2심은 ‘일반 육체노동에 종사할 수 있는 연한은 보통 60세가 될 때까지로 하는 것이 경험칙’이라는 기존 판례에 따라 노동 가동연령을 60세로 판단해 손해배상액을 계산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30년 전인 1989년 12월 55세였던 노동가동연령을 60세로 상향한 바 있다.

이에 박씨는 “기존 판결이 선고된 1980년대와 비교할 때 고령사회 진입과 평균수명의 연장, 경제 수준과 고용조건 등 사회·경제적 여건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는 점을 반영해야 한다”며 대법원에 상고했다.

사건을 접수한 대법원은 “노동 가동연령의 상향 여부는 일반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력과 국민 생활에 미치는 파급력이 크고, 보험제도와 연금제도의 운용에도 상당한 관련이 있다”며 사건을 대법원장과 대법관 12명이 참여하는 전원합의체에 회부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공개변론을 열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육체노동 가동연령의 상향 여부를 놓고 의견 대립이 예상되므로 전문가의 진단과 일반 국민의 의견 등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공개변론에서는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 사회의 여건을 고려한다면 60세보다 상향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과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해 조정할 필요 있다”는 신중론이 맞섰다.

onlinenew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