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특별기고-김명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국가지능화, 인공지능(AI)으로 풀자
뉴스종합| 2019-06-14 11:28
2016년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 기사를 이긴 이후 인공지능(AI)이 전 세계의 관심을 끈지 올해로 벌써 3년이 지났다. 지난 3년 사이 인공지능의 시대는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앞당겨졌고, 개발 속도도 무서울 정도로 빨라지고 있다. 세계는 현재, 인공지능 기술로 인해 도래될 혁신적 변화에 주목하면서, AI를 중심으로 경제와 산업을 성장시키고,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려는 국가 차원의 전략들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백악관 주도의 ‘미국 AI 주도계획’ 전략을 통해 다양한 정책들을 쏟아내며 지난해부터 차세대 AI 분야에 20억불을 투자하고 있다. 일본도 2017년에 산업화 로드맵이 포함된 ‘AI 기술 전략’을 수립했으며 중국도 2030년까지 중국이 AI 혁신의 중심이 되는 ‘차세대 AI 개발 계획’을 2017년부터 추진 중이다. EU 또한 2020년 말까지 15억 유로 투자 계획을 수립하고, EU와 회원국의 협력을 통해 투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AI 전략’을 지난해 만든바 있다.

각국 정부의 정책을 통한 전 국가적 역량을 AI에 결집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인공지능 기술의 상업적 성공 가능성을 확인한 글로벌 기업들은 다가오는 미래 시장에서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써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KPMG의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 아마존, 애플, 바이두, 페이스북 등 인공지능 관련 기업들의 투자규모는 오는 2035년까지 2320억불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 기준 18배가 증가된 규모다.

AI의 현황을 체감할 수 있는 자료로 MS 후원으로 진행된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설문 결과 발표가 있다. 2018년 미국, 영국, 프랑스 등 8개국의 금융 서비스, 의료건강 서비스,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체의 400여 중역들을 대상으로 한 이 설문조사에 따르면 향후 5년간 AI가 그들의 국가나 산업의 성장(90%), 생산성(84%), 일자리 창출(69%)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렇게 AI는 기업과 국가의 성패를 좌우할 트렌드를 지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었다. 그래서 부존자원이 부족하고 고급 인력에 의존하고 급격한 고령화와 인구감소를 동시에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겐 AI의 의미가 더욱 크게 다가온다. 아울러, AI를 통한 국가지능화가 산업이나 서비스의 고도화 측면을 넘어 우리의 일상적인 작업을 지능화함으로써 향후 인력문제에 대응하면서 사회혁신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도 가능하다. 따라서 국가 지능화는 대한민국의 혁신성장 및 미래 사회개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AI의 발전에 발맞춰 우리 정부도 지난해 12월,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통해 컴퓨터, 인터넷 기반의 ‘전산화/정보화’에서 ABCI(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에 기반을 둔 ‘지능화’를 토대로 하는 ‘인공지능 정부’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젠 정책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실행 방안을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될 때이다. 아울러, 정부 출연연구원의 변화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많은 출연연이 최근 AI를 각자의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좋은 결과를 내고 있지만, 보다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AI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AI 중심 R&D를 추진함으로써 국가성장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절실한 시점이다.

김명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