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 설] 생활방역 전환하되 완벽 준비와 시민의식이 그 전제
뉴스종합| 2020-04-13 11:31

국내 코로나 19의 기세가 다소 주춤해지면서 생활방역 전환 논의가 활발하다. 정부도 조심스레 그 가능성을 타진하는 모양이다. 보건당국은 이번 주말쯤 최종 판단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제 코로나 상황이 눈에 띄게 호전되고 있는 건 사실이다. 하루 확진자 수가 50명선 또는 그 이하로 유지되고 있는 게 일주일째다. 지난 10일 이후부터는 그 수가 30명 전후로 더 줄었다. 이런 정도라면 우리 의료시스템으로 충분히 통제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한다.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국민적 피로감이 많이 쌓인 상태다. 이를 감안하면 방역 체제 전환 논의는 일단 시의적절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침체된 경제 회복을 위해서라도 방역체제로 옮겨갈 필요는 있다.

다만 생활방역 전환은 충분하고 철저한 준비와 성숙한 시민의식을 그 전제로 한다. 당장 그동안 팽팽하게 조여왔던 긴장감을 늦추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생활방역은 말그대로 정상적인 일상활동을 하면서 감염을 차단하자는 것이다. 강제성만 없다는 것일 뿐 방역의 본질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전환이 결정되더라도 방역에 한치의 빈틈도 보여선 안 된다. 그러나 이미 긴장이 느슨해진 징후가 사회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지난 주말 상춘객이 붐벼 일부 지역은 교통이 마비될 정도였고 집중 계도에도 불구하고 주일 예배를 강행하는 교회가 빠르게 늘고 있다. 젊은이들이 즐겨찾는 클럽은 어디나 발디딜틈 없이 붐빈다고 한다. 학원가에도 학생들이 북적이기 시작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고 있는데도 이런 판이니 생활방역으로 전환한다면 그 정도가 더 심해질 것은 뻔하다. 어렵사리 쌓아올린 코로나 방역 둑이 무너져 내리는 건 한순간이다.

해외유입 차단은 필수다. 최근 2주간 확진 환자의 절반이 해외에서 들어왔으며, 그 수가 500명에 이른다. 보건당국은 13일부터 미국 입국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는 등 해외발 변수 차단에 부심하고 있지만 더 강도를 높여야 한다. 생활방역 전환이 안착하려면 해외발 변수가 최대 변수다. 세계적 팬데믹 상황은 여전하다. 지금까지 170만명 이상이 감염됐고, 10만명 넘게 사망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누적확진자가 52만명에 달하고, 사망자가 2만명을 넘었다.

생활방역 성공의 핵심은 세밀하고 구체적인 지침 마련에 달렸다. 가정과 학교, 직장 등에서의 행동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연장과 경기장 등 밀집시설 이용 안내는 특히 중요하다. 전문가들과 충분히 협의하고 국민 여론을 수렴해 효율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바란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