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초등 1~3학년 온라인개학
돌봄·학습병행 학생간 격차 발생
노년층 등 IT기술 소외 ‘생명위협’
코로나19로 실질적인 격차 부각
20일 서울 종로구 종로1가에서 만난 지영군(80) 씨는 “스마트폰은 전화 받을 때만 쓰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 씨는 ‘주변 공적마스크가 입고된 약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동선’ 등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보 파악에 대해 “그런 건 하나도 모른다”고 답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청을 통해 지급하는 긴급재난지원금(재난기본소득) 역시 “막내딸과 손주들이 알아서 해 줄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교육·보건·방역 등 여러 분야에서 디지털 정보기술(IT)이 활용되면서, 생활의 편의는 물론 코로나19 억제에도 일조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 활용의 전방위 확산과 맞물려 소득·세대·지역별 디지털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개학의 경우 학습의 차이로 이어지고, 코로나19 사태에서는 마스크 등의 부족으로 자칫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22면
특히 20일 초등학교 1~3학년의 온라인 개학이 실시되면서 초중고 540만명 원격수업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 디지털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돌봄’과 수업이 함께 진행되는 온라인 개학의 특성상, 보호자의 ‘디지털 소화력’에 따라 학생들 간 ‘격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초등학생은 중고교생, 대학생과 달리 집중력이 떨어져 온라인 수업 시 부모의 돌봄이 필요한데, 맞벌이 가정의 돌봄을 전담하는 조부모의 경우 해당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을 뿐더러 시스템 접속마저 서툰 경우가 많다”며 “저학년일수록 온라인 수업 진도를 따라가기 쉽지 않은 특성 등 디지털 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교육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격차 외에도, 그동안 스마트폰 사용법을 알려주던 손자가 대학교 입학으로 기숙사에 들어가 디지털 소외 현상이 시작된 노인, 아들이 결혼하며 함께 사용하던 인터넷을 가져가 더 이상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게 된 쪽방촌 주민, 인터넷은커녕 컴퓨터조차 보유하지 않은 가구가 대부분인 시골 마을 주민들 등 다양한 ‘디지털 격차’ 사례가 존재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디지털 격차가 ‘생명권 위협’으로 이어지는 현실도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기존에도 코로나19를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해 소득 계층·도농·세대별 격차가 존재해 왔다”며 “코로나19 사태에서는 디지털 기기를 필요로 하는 여러 변화들이 그런 격차의 문제를 부각시켜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격차로 인해 생명권이 실질적·체계적으로 보장이 되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박상현 기자, 신주희·홍승희 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