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지난해 자살자 0.9% 증가…“유명인 모방 ‘베르테르 효과’ 영향”
뉴스종합| 2020-09-22 13:52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지난해 자살한 사람의 수가 전년보다 0.9%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유명 연예인의 유사사례를 모방하려는 심리가 일부 영향을 줬을 것으로 추정하면서 올해는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자살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헤럴드DB]

22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로 인한 사망자는 1만3799명으로 전년보다 0.9%(129명)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인 자살률은 26.9명으로 역시 0.9% 상승했다.

이 같은 수치는 사회 구조적·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큼 원인을 하나로 설명하기는 어렵다는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다만 지난해 10월부터 자살 사망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볼 때 비슷한 시기 발생한 유명 연예인의 극단적 선택과 그에 대한 모방 효과, 즉 베르테르 효과가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자살률을 월별로 보면 3월(-16.1%)과 4월(-10.9%)에는 감소했지만 10월(9.0%)과 12월(19.7%)에는 증가했다. 특히 중앙심리부검센터의 지난해 전국 6개 시도의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 여성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10∼12월 43.7명으로 1∼9월의 25명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연예계와 협력해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유명인의 극단적 선택을 예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는 코로나19의 장기화가 극단적 선택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복지부는 조심스럽게 내다봤다. 지난 1월부터 6월까지의 자살사망자 수 잠정치는 627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502명) 감소했다. 아울러 과거 감염병 유행과 자살 증감의 연관 관계를 보면 시기별로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할 수 있고 이는 곧 자살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코로나 우울' 현상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통합심리지원단을 운영하고 심리상담과 휴식·치유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염민섭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자살위험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각종 긴급 민생·경제 지원과 함께 적극적 심리방역 및 자살 예방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dewkim@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