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윤석열, ‘콘텐츠’ 있는지는 미지수…나는 ‘청년’ 대통령 후보” [대선주자 인터뷰 ⑧하태경]
뉴스종합| 2021-06-29 11:28
대선 출마 선언을 한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청년’ 대통령이 되겠다.”

청년층의 지지를 기반으로 일찍이 대권 도전장을 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나 “현 정부가 청년에게 안긴 것은 ‘벼락거지’밖에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야권 잠룡 중 맞상대로는 ‘공정’을 앞세우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꼽았다. 그는 “내로남불에 맞서 단일 잣대를 보인 인물”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다만, 미래 구상 등 내용적으로는 보여준 게 없다”고 견제키도 했다. 그는 또 유력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최재형 전 감사원장을 놓곤 “콘텐츠가 미지수”라고 꼬집었고,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를 향해선 “사실 심판 대상이 아닌가”라고 날을 세웠다.

다음은 하 의원과 일문일답.

-출마 계기가 있는가.

▶586세대(50대·80년대 학번·60년대 출생)의 위선·무능을 ‘조국사태’를 통해 극악한 형태로 봤다. 우리 당은 그 과정에서 청년들의 상처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 국가의 성장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태였다. 이런 가운데, 지난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청년들의 힘이 폭발적으로 터졌다. 시대교체를 요구하는 에너지가 충분해졌다. 이 분위기를 이끌고, 국가 비전에 잘 반영할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한 시대가 왔다. 나는 지난 4년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청년들을 대변하는 의정활동을 이어왔다. 그 연장선으로 (대권을)결심했다.

-야권의 대권주자 중 라이벌로 누구를 생각하는가.

▶윤 전 총장이다. 공정이라는 강력한 가치를 갖고 있다.

-그런 윤 전 총장을 평가하자면.

▶윤 전 총장이 보여준 것은 공정을 기치로 한 일관성과 단일 잣대다. 다만, 이는 형식적인 가치일 뿐 미래 비전 등 내용적으로는 가치를 보여준 게 없다. 반면 나는 4년여 시간을 쏟아 미래 세대와 치열하게 소통했다.

-최 전 원장도 유력 대권주자로 뜨고 있다.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은 문재인 정권의 부조리를 가장 잘 체현(體現)하고 있는 인물이다. 지금은 (야권 내)정권 심판에 대한 의지가 높은 만큼, 현 정권을 잘 알면서 심판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인식돼 주목을 받는 것 같다. 하지만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단순한 정권 심판론만 갖고는 정권 교체가 어렵다는 분위기가 형성될 것이다.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 모두 정권 심판에 대한 에너지는 강하지만, 이와 같은 수준으로 미래 개척 에너지도 강할지는 미지수다.

-함께 거론되고 있는 김 전 부총리는 어떻게 보는가.

▶김 전 부총리는 사실 심판 대상이 아닌가.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은 현 정권의 비리와 부조리를 바로 잡으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김 전 부총리는 당시 경제 실무 책임자로 있으면서 소득주도성장 등 기조와 맞서 그렇게 싸웠던 것 같지 않다. 사실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이다. 현 정부의 큰 문제점이 일자리 부족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따른 잡음 등이었다. (김 전 부총리가 이에 맞서)‘경제계의 윤석열’이 될 수 있었는데, 그런 기회를 잡지 못했다. 이 부분이 더 밝혀지면 외려 심판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인이 대통령이 되면 어떤 사회를 구현하고 싶은가.

▶돈 쓸 궁리보다 돈 벌 궁리를 하는 대통령이 되겠다. ‘어떻게 다시 성장할 수 있을까’란 과제가 가장 절박하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일자리를 더 만들어야 한다. 일각에선 인공지능(AI) 등에 따른 자동화가 정착되면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보다 앞서 4차 산업혁명을 정착시키고 있는 일본과 독일 등 사례를 보면 되레 완전 고용을 실현하고 있다. 22세기에는 어떻게 될 지 알 수 없지만, 21세기에는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일자리를 충분히 만들 수 있다. 이대로 가면 우리 자식 세대들은 미래가 없다. 일자리 체념론의 확산을 막고 아이들이 웃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현재의 대통령은 사고와 재난 등 위기 관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그런 일은 국무총리가 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그 부분은 대통령 권한을 축소해야 한다는 뜻으로도 들린다. 개헌과 연계될 수 있는 사안인가.

▶우리 헌법에 이미 내각제 요소가 있다. 지금 헌법에도 그렇게 하도록 돼 있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개헌에 대해선 의견이 있는가.

▶대통령 임기와 관련해 5년 중임제로 개헌이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경제와 외교 행보에는 긴 시간이 걸린다. 특히 외교가 그렇다. 역대 대통령의 행보를 보면, (전임 대통령이 한)외교적 합의를 무시하고 뒤집는 일이 있었다. 이러면 상대 국가도 ‘저 국가는 대통령만 바뀌면 합의를 지키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길 수 있다.

-조정하고 싶은 부(部) 혹은 출범시키고 싶은 특별위원회가 있는가.

▶산업자원통상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등 경제 부처를 경제통상부 정도로 합칠 필요가 있다. 대기업을 다루는 부서, 중소기업을 관할하는 부서를 구분하면 효율이 떨어진다. ‘협업 모드’로 나아가야 해외에서 외교를 할 때도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K-경제벨트 특임장관을 임명하고 싶다. 대통령과 함께, 필요하면 대통령 대신 세계를 누비면서 ‘경제 영토’ 확장에 매진하는 직책이다. 문 정부는 대북 외교에만 올인하고 있는데, 지금은 경제 외교를 강화해야 할 시기다.

-핵심 지지층인 청년 세대와는 어떻게 소통하고 있나.

▶커뮤니티 ‘눈팅(탐색)’을 자주 한다. 종합적으로 모두 살펴본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TV에서 ‘코인 게이트’가 터졌다는 제보를 받았다. 그러면 시간을 들여 살펴보고, 어떤 해법이 있을지를 연구한 후 답변을 한다. 그런 식으로 (소통을 위해)계속 공부를 하고 있다.

-현재 청년층이 관심 갖는 사안 중 하나가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 영입에 대한 ‘낙하산’ 논란인데.

▶누군가가 1등 상을 받을 때 청년들은 그 과정이 공정해야 인정을 한다. 박 비서관이 벼락 채용 내지 벼락 비서관이 됐다고 보는 것이다. 현 정부는 그저 청년 정치인을 우대하면 청년들도 위안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 같다. 결과적 정의만 따진 결과다. 이와 반대로 우리 당의 토론 배틀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적어도 객관·표준화된 기준치가 있고, 이를 토대로 공정하게 경쟁하기 때문이다.

-하 의원은 차기 부산시장 후보군으로도 꼽히는데.

▶감사한 평가지만, 당장은 대선에 집중하고 싶다.

강문규·정윤희·이원율 기자

yul@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