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10년 만에 최고 물가, 2022년은 인플레와의 전쟁
뉴스종합| 2021-12-31 11:26

2021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를 기록했다. 10년 만에 최고치다. 12월 3.7%를 포함해 3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이어나간 결과다.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원자재 가격이 워낙 오른 데다 억눌린 수요 회복의 영향이 고물가로 나타날 건 충분히 예상됐다.

그럼에도 충격은 작지 않다. 2019년(0.4%)과 지난해(0.5%) 2년 연속 거의 물가 중립 상황에서 2.5%대로 올랐으니 적지 않은 격차다. 생활물가(3.2%)와 신선식품(6.2%)의 상승률을 고려하면 체감도는 훨씬 크다.

그런데도 2022년은 더 암울하다. 정부는 경제정책 방향에서 물가목표를 2.2%로 잡았지만 달성 가능성은 크지 않다. 안 그래도 2021년 연간 1.5% 물가를 예상했다가 두 차례나 수정해 2.4%까지 높여놓고도 결국 달성 못한 정부 아닌가. 게다가 아직 반영되지 않은 잠재물가 상승 요인이 너무나 많다. 인위적으로 억누른 전기·가스료를 비롯한 공공요금은 대선 이후 모두 반영된다. 이미 공지된 일이다. 지금도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 간 격차는 5%를 넘는다.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최종 제품의 가격에 반영되지 않은 부분이 여전히 많다는 얘기다. 심지어 유류세 인하 조치도 3개월 후면 끝난다.

밥상물가는 더하다. 이상 기후와 조류 인플루엔자의 영향으로 ‘애그플레이션(농산물+인플레)’에 ‘프로틴플레이션(단백질+인플레)’은 이제 일상화된 용어다. 여기에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플레이션(친환경+인플레)’까지 더해진다.

하지만 더 중요한 문제는 서민 지갑이다. 물가 상승으로 지출이 많아지는 정도에 그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질소득은 줄어드는데 물가만 오르는, 이른바 ‘스크루플레이션(소득저하+인플레)’ 때문이다.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이 작지 않다. 이미 2021년의 분기별 통계를 보면 국민총소득(GNI)이 국내총생산(GDP)을 한참 밑도는 게 다반사였다. 3분기만 해도 GDP 성장 1.4%에 GNI는 고작 0.1%였다. 돈을 쓸 여력이 그만큼 줄고 실질 구매력은 더 낮아진다. 서민은 이중의 고통을 받는다는 얘기다.

결국 2022년 경제의 성패는 물가 관리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쉬운 일이 아니다. 심지어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소비 진작을 병행하면서 달성해야 할 과제다. 정부가 내세우는 ‘완전한 경제 정상화’는 인플레 차단과 경제회복 모두를 달성해야 이뤄지는 목표다. 단순한 재난지원금 돈풀기는 능사가 아님이 증명된 지 오래다. 답은 고용이다. 소득 감소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유일한 길이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