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콘크리트 유토피아’ 이병헌 “재난보다 무서운 건 인간…인간성 밑바닥 흥미”[인터뷰]
라이프| 2023-08-04 11:45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재난보다 무서운 건 인간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번 영화가 재난 영화라고 얘기하지만, 사실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배우 이병헌은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나 신작 ‘콘크리트 유토피아’에 대해 ‘재난 영화의 옷을 입은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9일 개봉하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으로 모든 것이 무너진 서울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파트의 주민들의 이야기다. 김숭늉 작가의 웹툰 ‘유쾌한 왕따’ 2부 ‘유쾌한 이웃’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단편 영화계에서 탄탄한 내공을 쌓은 엄태화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영화는 아파트 주민들이 외부인의 출입을 원천 봉쇄하고 자기들만의 규칙을 만들어 생존하는 과정을 그린다. 자신 외에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극한 이기주의부터 남을 챙기는 이상적인 이타주의까지 살아남은 자들 사이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인간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병헌은 주민 대표인 ‘영탁’으로 분했다. 뻗친 머리, M자 탈모, 세수하지 않은 얼굴, 진한 눈 주름과 다크서클. 비주얼만 보면 ‘잘생김’과는 거리가 멀다.

캐릭터 역시 그가 맡아보지 않은 신선한 유형이다. 떠밀리듯 주민 대표를 맡은 영탁은 처음엔 어쩔 줄 몰라 하다가 어느 순간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 용감하게 앞장서는 리더로 변모한다. 그러나 손에 쥔 권력의 맛에 취해 광기 어린 독재자로 타락하는 입체적인 캐릭터다.

이병헌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인간성이 다 드러나고 선과 악의 구분이 없는 것이 흥미로웠다”며 “주민들이 상식적인 선에서 규칙을 정하지만, 그 안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인간성의 밑바닥이 보여지는 것이 재밌었다”고 말했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탁은 사실상 영화 전체를 주도하는 인물이다. 영화의 긴장감, 위트, 스릴을 대부분 책임진다. 그리고 이를 극대화한 것은 이병헌의 열연이다. 그의 신 들린 듯한 연기력은 런닝타임 내내 관객들을 압도한다. 올해로 데뷔 32년이 된 이병헌에게도 영탁은 쉽지 않은 캐릭터였다.

이병헌은 “극단적인 상황에 놓인 인물의 감정을 표현할 땐 상상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우선 나를 설득시켜야 하는데 스스로 설득 당하는 시간이 걸린 장면들이 있었다”며 “나와 영탁이 너무 다르다 보니 힘든 부분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병헌은 촬영 현장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생기면 적극적으로 개진하는 편이다. 영화 ‘내부자들’에서 통유리창의 화장실에서 대변을 보는 장면이나 “모히또에 가서 몰디브나 한 잔 할까”의 대사 등이 널리 알려진 그의 아이디어다. 이번 영화에도 그의 활약이 곳곳에 숨어있다. 주민 명단표에 자신의 이름을 적는 장면이나 대화 도중 잘못된 고사성어를 내뱉는 장면 등이 대표적이다. 이병헌이 내놓은 아이디어로 대사가 일부 수정되거나 없던 장면이 생겨난 경우다.

이같은 연기 내공은 아이와 같은 순수함을 잃지 않으려는 그의 끊임없는 노력에서 나왔다. 이병헌은 “‘모든 사람한테 열 살 짜리 아이가 있다’는 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아이 때 할 수 있는 생각을 없애기보다는 장난스러움와 엉뚱함 등 아이와 같은 마음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엄 감독의 디렉팅 스타일에 대해선 ‘처음 보는 유형’이라면서도 그의 기발함과 성실함에 높은 점수를 줬다. 엄 감독은 영화 개봉을 기다리는 동안 영화 최종본을 네 가지의 버전으로 만들 정도로 후반 작업에 공을 들였다.

그는 “엄 감독은 말수도 적고 디렉팅도 거의 없는데 생각이 뚜렷하고 생각치 못한 기발함이 있다”며 “시사회에서 영화 최종본을 보고 나니 엄 감독이 후반 작업에 얼마나 매진하고 노력했는지 알 수 있었다”며 높이 평가했다.

[BH 엔터테인먼트 제공]

그는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블랙 코미디에 가깝다고 했다. 영화가 담는 메시지는 심오하나 표현하는 방식은 위트있기 때문이다. 이병헌은 관객들이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보고 다양한 의견을 내길 바랐다.

“영화의 캐릭터들이 모두 상식선 안에 있는 사람들이에요. 모든 캐릭터들이 다 이해가 갈 수 있기 때문에 관객들마다 의견이 분분하고 감정 이입이 되는 인물이 다를 수 있어요. 정말 그랬으면 좋겠어요. 영화를 본 관객들의 의견이 분분했으면 좋겠어요.”

ren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