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월급 3천만원도 소용없다” 시골에서 떠난다…짐 싼 의사 270명
뉴스종합| 2023-12-12 20:51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지방 중소병원으로 갈수록 상황은 더 심각하다.”

최근 연봉 수억원을 제시하고도 의사를 구하지 못 했거나 수차례 모집 공고를 낸 끝에 간신히 의사를 채용하는 일이 빈번하다. 이 같은 상황은 지방으로 갈수록 심각해진다.

특히 의료취약지에서 짐을 싼 의사들이 ‘27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정부가 의대정원 증원 논의에 본격적으로 나선 만큼, 공공의대 등 방법론에 대해서도 고민해야한다고 지적한다.

대한간호협회가 지역별 의료이용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전국 시군구 가운데 98개 의료취약지역 중 52개 지역에서 의사 수가 줄었다. 세부적으로 경북 10곳, 강원 9곳, 경남 9곳, 전남 8곳, 전북 6곳, 충남·북 4곳, 인천·경기 각각 1곳 등 의료취약지를 떠난 의사만 270명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의사들이 지역을 꺼리는 이유는 서울 및 수도권과 비교할 수 없는 생활 인프라, 열악한 근무환경 및 부담 등이 꼽힌다.

특히 대한의사협회는 의대정원 증원 대안 중 하나로 지역 의료기관-은퇴 의사 매칭을 위한 시범사업을 내세우고 있지만, 은퇴를 했거나 은퇴를 앞둔 의사들도 지방보다는 서울·경기지역을 선호한다.

실제로 의사협회가 지난 2021년 1월 13일부터 20일까지 전국 60세 이상(은퇴 및 은퇴 예정) 회원 2만73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은퇴 후 희망 근무지역’으로 서울(22.7%), 경기(18.1%) 등이 가장 많이 꼽혔다.

‘재취업을 하게 된다면 해당 지역으로 옮길 의향이 있으냐’를 묻는 질문에는 아니오(50.9%)라고 응답한 의사가 과반을 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최근 의대정원 증원 논의와 맞물려 젊은 의사들을 지역으로 유인할 방법론에 대해서 고민해야한다고 지적한다. 공공의대는 지역 의무복무를 골자로 하는 것으로, 이미 의과대학이 없는 인천, 전남, 경남 창원시 등에서 공공의대 혹은 지역의대 설립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공공의대, 지역의사제와 유사한 일본의 지역정원제도로 선발된 의대생이 졸업 후 대학 소재 지역 의사로 근무한 비율은 87.8%에 육박했다.

나백주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현재 의과대학은 지역의료나 공공의료를 실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기존 의과대학에 의대정원을 늘려주는 것보다 공공의대를 설립해 비전 있는 교육을 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k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