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일반
한국 R&D ‘이것부터 고쳐라’…세계 R&D 석학의 제언
뉴스종합| 2011-06-08 10:25
미국, 독일, 일본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기술 선진국으로 나갈 것인가. 아니면 만년 후발주자 위치에 머물 것인가. 지금 한국의 기술산업은 전환점에 서있다. 지난 7일 지식경제부 연구개발(R&D) 전략기획단 주최로 열린 ‘글로벌 R&D 포럼’에 산업기술 부문의 세계적 석학이 참여했다. 우리기술이 한 단계 발전하기 위해 어떤 변화를 필요한지 헤럴드경제가 그들에게 따로 질문을 던져봤다.

조지 화이트 사이즈 미국 하버드대 최고명예교수는 해답은 ‘인센티브(혜택)’에 있다고 말했다. “똑똑한 젊은이들에게 R&D가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면서 “R&D 분야 학생에게 다양한 해외 장학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하며, 임금도 매력적일 만큼 높이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유인책도 필요하다. 그는 “미국정부는 R&D 중심 기업에 대한 투자에 과감한 세제 혜택을 주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가 배워야할 점이라고 지적했다.

라울 클링어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디렉트 역시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인센티브를 강조했다. “젊은이들에게 다양한 유인책을 제시해 R&D 업계에 관심을 가지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정부가 ‘고른 투자’에 좀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기초기술과 실용기술 연구에 고르게 투자해야한다”면서 “무엇보다 중소기업에 좀더 많이 지원해야만 균형적인 투자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과 기업 간 협력을 적극 권장하는 일도 정부의 역할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레이 보먼 미 텍사스 교수는 해외 인재 영입에 활발히 나서라고 제언했다. “중국, 일본과의 R&D 투자 경쟁에서 앞서나가려면 인재 확보에서 우위에 서야한다”면서 “국외 저명한 교수나 지식인을 초청해 국내 사업에 투입하는데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의 과학자, 기술자는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있지만 국제 협력에서는 소극적이다는 느낌을 받는다면서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좀더 관심을 기울여야한다”고 말했다.

<조현숙ㆍ김주연 기자 @oreilleneuve>

newear@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