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부동산 1번지’의 굴욕
뉴스종합| 2011-07-28 11:27
서초등 물폭탄 피해 심각

저지대·안일한대응 화불러

부동산 불패신화 흔들


100년 만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물폭탄이 서울, 그중에서도 서초, 강남, 관악구 등 강남지역에 집중되면서 이들 지역의 비 피해가 가장 컸다.

28일 기상청에 따르면 관악구 남현동은 서울 전 지역을 통틀어 가장 많은 407.5㎜(26~28일 오전 9시)의 폭우가 쏟아졌다. 관악구 전체로도 395㎜의 비가 내렸다. 시간당 100㎜가 넘는 역사적인 비였다. 강남과 서초도 각각 353.5㎜, 281㎜나 내렸다. 이 비의 대부분이 27일 오전 6시부터 정오까지 몰아서 왔는데, 이때 내린 비의 양은 서울 다른 지역의 강수량보다 2배가량 많은 양이었다.

강남지역 물폭탄의 이유는 있었다. 바로 이 지역 비구름 두께가 타 지역보다 두꺼웠기 때문. 기상청 관계자는 “대기의 상태가 전 지역에 걸쳐 칼로 잰 듯 균질하진 않다. 두꺼운 곳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얇은 곳이 있다”며 “세 지역의 비구름 두께가 두껍고 수증기 양이 많았기 때문에 특히 많은 비가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관악구의 경우 산이 있기 때문에 많은 비가 쏟아졌다. 김승배 기상청 대변인은 “산이 있는 지역은 비구름이 산을 넘기 전에 많은 비를 뿌린다”면서 “관악구가 서울시에서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세 지역이 남하하고 있는 비구름대의 통로에 위치해 비의 양이 가장 많았다는 것이다.

저지대란 점도 이들 지역의 비 피해를 키웠다. 세 지역은 도봉산, 북악산, 인왕산 등 산이 비교적 많아 물이 상대적으로 빨리 빠지는 강북지역과 달리 평지가 많아 물이 더 천천히 빠진다. 특히 피해가 큰 서초구의 고도는 평균 36m로 서울시에서 가장 낮은 지대에 속한다. 상습피해구역인 강남구(60m)도 지대가 낮긴 마찬가지다. 이로 인해 서울시는 아예 강남역 인근을 ‘자연재해 위험지구’로 지정해놓고 특별관리할 정도다.

이런 자연적 이유 외에도 부족한 배수시설과 이를 방치한 안일한 대응이 화(禍)를 불렀다는 지적도 있다. 이 세 지역은 70~80년 고속개발로 하수도 시설과 녹지, 공원 등이 부족하지만 현재 이 지역의 지자체는 수해방지 예산이 전무한 실정이다. 서울시가 올해 수방대책사업 예산을 지난해보다 150억원 이상 삭감했기 때문이다.

황혜진기자/hhj6386@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