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
내년 분양시장, 수도권ㆍ지방 간 양극화 계속된다
부동산| 2011-12-16 08:06

내년 전국분양 시장은 올해와 같은 수도권 약세, 지방 호조세의 양극화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수도권의 경우 경기 침체, 보금자리 여파, 건설사 구조조정 등의 요인으로 올 연말의 극심한 침체 상황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지방은 실수요층 중심으로 당분간 상승무드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도 수도권과 지방간 분양시장 양극화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은 지방 분양시장 청약 인기몰이의 중심이 되고 있는 세종시 첫마을 공사 현장.

◆수도권은 한동안 ‘흐림’ 예상=수도권 분양시장은 올해와 같은 약세기조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주택경기 침체, 유럽 금융위기 등으로 인한 위축 분위기가 수도권 전반에 걸쳐 확산돼있다 보니, 거래시장이 빠른 시일 내 활성화되기엔 무리가 따를 전망. 실제로 최근 2011년 연말까지도 수도권 일대 분양 단지 중 우수한 입지와 가격 경쟁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좋지 못한 청약 성적을 기록했던 사업장들이 적지 않았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보금자리 분양이 내년에도 계속 이어진다는 점은 민간 건설업체들에 있어 치열한 경쟁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재무 안정성 확보가 불투명한 건설업체들의 구조조정 후폭풍도 예고돼 있어 이에 따른 난항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올해 시공능력 100대 건설사 중 20% 이상이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을 받고 있어 이들 분양아파트로 인한 시장 경직이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시장 분위기를 감안했을 때 건설사들이 내년 분양을 나서는데 있어 시기, 입지, 분양가 등에 대해 어느 때보다도 조심스럽고 방어적인 자세를 갖출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한동안 분양위축 양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지방은 당분간 호조세 이어질 듯.. 다만 과열양상으로 흐를 가능성도 있어=지방은 올해 부산, 경남, 대전, 충남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호조세가 당분간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부산의 경우 올해 청약을 실시한 상당수 사업장들이 순위 내 마감이라는 기염을 토하면서, 청약자들의 많은 호응을 얻으며 상승무드가 지속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부산을 위시한 지방 일대가 최근 2~3년간 공급 가뭄에 시달렸다가 올 들어 물량공급의 물꼬가 터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을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심각한 수급불균형을 겪었기 때문에 실수요층의 신규공급에 대한 기대심리가 어느 때보다도 높았던 것.

게다가 건설업체들이 지방에서 분양가 인하, 중도금 무이자 융자, 임대 전환 등의 끊임없는 자구책 마련으로 미분양 타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도 향후 거래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짐짓 분양시장의 과열양상도 우려되고 있다. 공급이 실수요를 넘어서는 움직임이 조금씩 감지되고 있어, 내년 중순경에는 자칫 공급 과잉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 이에 내년에는 보다 뛰어난 입지와 가격 경쟁력을 갖춘 물량을 중심으로 청약자들의 호응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양극화 전망 되지만, 각종 변수로 흐름 바뀔 가능성 존재=내년 전국분양 시장은 대체로 위와 같은 양극화 분위기가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의 경우 전반적인 경기침체 및 건설업체의 고전으로 분양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크고, 지방은 공급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무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방은 과열 가능성도 있는 상황.

때문에 민간 건설업체의 경우 분양가 산정, 입지 선정, 시기 등을 조율함에 있어 보다 심혈을 기울일 것으로 판단된다. 무엇보다 배짱 분양보다는 수요층의 니즈(needs)를 최우선으로 한 물량 공급에 주안점을 둬 분양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김충범 부동산1번지 팀장은 “경기 회복 여부나 정부 정책 움직임 등 각종 변수가 존재하는 만큼 약세를 낙관하기는 어렵다”며 “특히 최근 12.7대책에서도 보여졌듯이 정부가 부동산 시장 규제 철폐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어, 내년에 예상치 못한 각종 대책과 금리 정책이 펼쳐질 경우 시장의 흐름이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강주남 기자 @nk3507> 
/ namka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