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일반
한국기업 수출대금 확보 ‘빨간불’
뉴스종합| 2012-03-06 11:14
거래제한 이유엔 말 아껴
파르시안銀 등은 제한적 허용

원유수입 우회로 차질 불구
한국정부 “직접 나서긴 부담”


중동의 화약고 이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수출대금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원화결제라는 묘책으로 우회해왔던 한ㆍ이란 간 은행 결제 시스템에 최근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6일 코트라 테헤란무역관에 따르면 2월 말 현재 원화 송금 서비스가 가능하던 이란 현지 은행들이 속속 해당 서비스 중단을 발표하고 있다. 사르마예(Sarmayeh)은행, 사만(Saman)은행, EN은행 등 3개 이란은행은 지난달 26일부터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원화 전신송금(T/TㆍTelegraphic Transfer)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들 은행 외에도 파르시안(Parsian)은행, 카라파린(Karafarin)은행 등 5개 은행 역시 기존 우량 고객들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전신송금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은행은 원화 거래를 제한한 이유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현지에 진출한 국내기업들은 원화 기준 가격으로 거래한 무역에 대해 대금 지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테헤란 현지의 한 국내기업 관계자는 “이란정부 차원의 조치라기보다는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는 현재 이란의 불안한 외환시장 상황 때문에 은행들이 외환보유액 유지를 위해 자체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란은 최근 단일고정환율제도 도입을 발표하는 등 외환 블랙마켓에 대한 감시ㆍ처벌을 강화하고 있다. 이란 국내 외환부족현상이 해결되지 못해 수출대금 송금에 어려움이 많아진 데 따른 것이다.

이를 지켜보는 정부도 답답한 입장이다. 정부 한 고위관계자는 “이란 은행들의 원화결제 제한 조치에 대해 촉각을 세우며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들은 이란과의 교역을 중단하는 상황에 한국정부만 교역 활성화를 위해 원화결제 시스템을 원상복구시키라고 나서기 부담스럽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지금까지 한ㆍ이란 간 유지됐던 원화결제시스템은 국내기업들엔 이란 시장 공략의 최대 이점이었다. 이 때문에 한국은 지난해 이란 시장에서 중국에 이은 2위 수출국(중개무역상 제외)으로 올라서는 등 입지가 탄탄해졌다.

한편 정부 당국은 미국과 지난달 22일 협의를 통해 이란중앙은행이 원화계좌를 개설한 국내 금융기관은 우리 정부의 지분이 50%를 초과해 이 기관을 통한 비(非)석유거래에는 국방수권법에 따른 제재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윤정식 기자>
/yj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