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 시장이 하루 빨리 정상화돼야 영업을 재개할 수 있죠.”(A저축은행 관계자)
적기시정조치(부실 우려 금융회사의 정상화 조치)가 유예된 4개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이 또다시 미뤄지자 나머지 저축은행들의 불만이 쌓이고 있다. 금융당국발 시장 불확실성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으면서 ‘개점휴업’ 상태가 1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것.
당초 4개 저축은행의 적기시정조치 유예기간은 지난해 12월 말이지만 금융당국은 이들 저축은행의 반기(2011년 12월)보고서를 참고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등을 점검하겠다면서 경영평가를 미뤘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삼화저축은행(현 우리금융저축은행)을 시작으로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이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이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된 4개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진단 결과를 4월 이후로 연기하면서 저축은행권 전체가 ‘시한폭탄’을 안고 있게 됐다. 당초 시장에서는 3차 구조조정 발표가 ‘4ㆍ11 총선’이 끝난 직후 나올 것으로 예상했었다.
금융당국의 경영진단이 늦어지는 만큼 저축은행업계의 ‘속앓이’ 기간도 늘고 있다. 지난해 ‘줄 퇴출’ 여파가 1년 넘게 지속되면서 여ㆍ수신 영업은 이미 바닥을 기고 있다. 지난해 1월 64조6600억원이던 여신 잔액은 올 1월 43조7200억원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수신 잔액도 74조3900억원에서 57조5600억원으로 떨어졌다.
B저축은행 관계자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막힌데다 저축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대출은 물론 예금 영업도 안되고 있다”면서 “소액신용대출로 사업 구조를 바꾸고 있지만 신규 고객을 유치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일부 저축은행은 사회공헌활동이나 문화사업을 전개하면서 이미지 쇄신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해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C저축은행 관계자는 “지역 사회 봉사활동을 실시하는 등 우호 여론을 만드는데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면서 “그나마 회사 인지도를 높이고 뱅크런(대량 현금 인출 사태)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되지 않겠느냐”고 기대했다.
중ㆍ소형 저축은행들의 불만도 높다. 일부 대형 저축은행의 부실이 업계 전체의 부실로 인식되고 있는데다 추가 영업정지 저축은행이 발표될 경우 중ㆍ소형 저축은행이 입는 피해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D저축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우유부단한 태도에 시장 불안만 더 키우고 있다”면서 “하루 빨리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업계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ipe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