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일반
산업화 가능 기술 집중지원…주춤했던 줄기세포 터보단다
뉴스종합| 2012-05-02 11:49
국내 기술 탁월하지만…연구비 등 막대한 비용 소요
벤처는 물론 대기업 엄두못내…국가지원 없이 상업화 불가능

원천기술·시설 장비개발 등…정부 임상과정부터 예산투입



정부가 줄기세포 산업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 마련에 착수했다. 지난 2005년 황우석 박사 사건으로 한국이 주춤한 사이 전 세계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서 일본과 미국의 양강 구도가 형성된 데 따른 대대적인 반격을 시작한 것이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한 국내 임상시험은 배아줄기세포의 경우 1건에 그쳤다.

국내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기술 수준은 기초연구는 상당히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미 국내에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자체 확보한 기업도 상당수다. 당장 부광약품 관계사인 안트로젠은 세계 최초 지방 줄기세포로 만든 치루치료제를 개발해 1~2개월 내 출시해 미국ㆍ유럽 시장도 진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줄기세포 연구의 근본 문제는 원천기술을 제품 생산으로 연결시키는 임상과정에서의 비용이다.

정부 관계자는 “선진국에서 임상시험을 위한 2상 시험 완료까지는 프로젝트 당 최소 200억원 이상의 연구비가 필요하다”며 “이는 제약분야 대기업들에게도 부담스러운 수준이고 바이오벤처업체들은 국가적 지원 없이는 기술을 상업화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줄기세포 R&D지원 예산을 대폭 늘리고 보다 짜임새있는 중장기 로드맵을 구성해 단계별 산업화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수립된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의 지원책은 크게 원천기술 개발, 배지 및 소모품 개발, 시설장비 개발, 산업기반 지원 등 4가지로 나뉜다. 가시적 성과가 나오기 시작하는 시점은 2017년부터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 분비세포 대량 배양 시스템과, 제대혈 등의 기반이 되는 부착성 줄기세포의 대량 부유 배양법,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인 사이토카인(Cytokine) 국산화 개발 등이 2017년 완료된다. 장비분야에서도 냉동 후 해동된 인간 줄기세포의 이식장치, 줄기세포 장기보존ㆍ재생기술, 줄기세포 증식ㆍ분화용 배양용기 개발이 같은 시기 완료된다.

2018년에는 연골생성 줄기세포 시술법과 수술 중 지혈관련 치료제로 사용이 가능한 줄기세포 이용 혈소판 대량 생산기술이 개발된다. 또, 이듬해에는 퇴행성 근육병 치료제인 근육 생성 줄기세포 대량 배양 시스템 상용화가 가능해지고 3차원 줄기세포 배양 시스템도 개발된다.

보고서는 정부의 예산지원 원칙이 사람에 적용 가능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술에 집중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른 시일 내에 산업화가 가능한 기술에 우선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지난 2005년 1억달러 규모였던 국내 세포치료제 시장은 올해 4억8000만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이 가운데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은 전체의 약 10%에 해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전 세계 줄기세포 시장이 324억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치다.

메디포스트, 차바이오앤디오스텍, 알앤엘생명과학 등 국내에서도 성체줄기세포 치료제로 임상시험을 완료하거나 현재 진행 중인 업체들이 다수다. 하지만 현재 22건이 시험 승인을 받았지만 아직 7건밖에 완료하지 못한 상황이다. 범정부 차원의 제대로 된 예산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윤정식 기자>
/yj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