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M&A 큰 場 섰지만…예보 잡음·자금부담으로 대부분 ‘시큰둥’
뉴스종합| 2012-05-07 11:17
올해 첫 저축은행 인수ㆍ합병(M&A) 시장이 열렸지만 금융권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유력 후보군인 금융지주사는 지난해 인수한 저축은행의 경영 정상화에 주력한다는 방침이고, 매입 여력이 있는 증권사들도 당분간 추가 인수는 없을 것이란 분위기다. 또 부실저축은행 매입에 따른 인수자와 예금보험공사 간 잡음이 끊이질 않는 데다 이번에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이 대형사라는 점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6일 영업정지된 솔로몬ㆍ한국ㆍ미래ㆍ한주저축은행은 45일 이내에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체 경영정상화가 되지 않으면 제3자에게 매각되거나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가교저축은행에 계약 이전된다.

단기간에 수천억원에 달하는 자본을 확충하기가 어려운 데다 전례를 보면 사실상 4개 저축은행이 모두 매물로 나올 것이라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문제는 이번에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이 대형사라는 점이다. 자산ㆍ부채 이전 방식으로 매각한다고 해도 인수자 측은 상당한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때문에 금융지주사나 대형 증권사가 아니면 저축은행의 M&A 작업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시장 분위기와 달리 저축은행을 매입하겠다고 선뜻 나서는 금융지주사는 아직 없다.

임영록 KB금융그룹 사장은 “저축은행의 인수보다 이제 내실을 기해야 한다”면서 저축은행의 추가 인수에 난색을 보였다. 또 ING생명 인수전도 KB금융에는 부담이다.

신한금융은 지난 1월 영업을 개시한 신한저축은행을 정상화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내년 초까지 저축은행 추가 인수는 없을 것이란 얘기다. 우리금융은 현재 계열사인 우리PE가 가교저축은행 인수 절차에 참여하고 있는 데다 민영화도 추진 중이어서 저축은행 매입을 검토할 여력이 없다. 올 초 외환은행을 인수한 하나금융은 자금 사정에 여유가 없다.

지방 금융지주사인 BS금융은 현재 가교저축은행 인수에 참여하고 있고, DGB금융은 저축은행 인수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

증권사도 마찬가지다. 기존 인수한 저축은행의 내실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 다만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에 영업정지된 대형 저축은행의 영업망과 기반을 매력적으로 볼 수도 있다”면서 “금융당국이 결정을 내릴 때 어느 정도 구조조정 방법을 생각해 뒀다면 M&A 작업이 빨리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했다.


<최진성 기자>
/ipe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