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가 잡아야 중산층이 튼튼해진다
뉴스종합| 2012-08-10 11:16
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폭염과 이상기후로 시금치ㆍ상추ㆍ여름배추ㆍ깻잎 등 푸른 잎채소 값이 폭등하고 있는 것이다. 상추와 시금치 등은 한 달 새 무려 값이 두 배 이상 올라 ‘금상추’ ‘금시금치’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게다가 가공식품류도 가격 인상 러시다. 지난달 말 값을 올린 맥주ㆍ라면 등에 이어 청량음료와 캔커피ㆍ두유ㆍ햇반 등도 인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가뜩이나 경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 고통이 적지 않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가깝게는 추석과 김장철 물가대란이 걱정이다. 가을배추와 무의 경지면적이 지난해보다 20%나 줄어든 데다 폭염 여파로 적정 수확이 어렵다고 한다. 지구촌 전역 가뭄과 고온 현상 피해는 연말쯤 고스란히 국내 물가에 반영되며 우리 식탁을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3대 곡물 주산지인 미국, 러시아, 남미가 동시에 재해를 입어 국제 밀ㆍ콩ㆍ옥수수 가격은 지난 연말 대비 30% 안팎 올랐다. 예년 같으면 한 지역 생산량이 줄어도 다른 곳에서 보완이 가능해 이처럼 가격이 폭등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상황이 아예 일반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물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그만큼 커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5% 올라 최근 10여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 정부는 국제곡물가격 급등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물론 통계상 숫자는 큰 폭의 변화가 없을지 몰라도 실제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는 천장처럼 높다. 당국이 마냥 팔짱만 끼고 있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쉽지는 않겠지만 곡물에 대한 할당관세 연장 등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공공요금의 경우 방만 경영을 잡아내고 공기업 회계처리 기준만 개선해도 원가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관련 업계도 자중하기 바란다. 원가 인상 요인이 넘치는데도 정부 눈치 보느라 억지로 제품 값을 묶어둘 수는 없다. 하지만 정권 말이라고 가격 인상을 밀어붙이는 것은 곤란하다. 그렇지 않아도 내년 초 새 정권이 들어서면 그 서슬에 가격을 올리기가 힘들어 정권 힘이 떨어진 지금이 인상 적기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

헤럴드경제와 현대경제연구원 설문조사에 의하면 중산층을 늘리고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우선해야 할 정책은 ‘물가안정’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이 ‘일자리’였다. 체감물가 상승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잘 보여준다. 연말 대선까지 겹쳐 물가당국의 고민이 크겠지만 서민 어려움을 최대한 덜어준다는 사명감으로 진정성 있게 대처하면 못 넘을 벽은 없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