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사
극동건설 법정관리행, 파장은?
부동산| 2012-09-27 09:35
[헤럴드경제=백웅기 기자] 창사 65년째인 또다른 중견 건설사 시공능력 38위의 극동건설도 결국 법정관리행을 피하지 못했다. 올해 들어서만 풍림산업, 우림건설, 범양건영, 벽산건설, 삼환기업, 남광토건 등 중견사들이 잇따라 경영난을 호소하면서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 건설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건설 경기가 되살아나지 않는 한 건설사들의 줄도산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뾰족한 수를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당장 극동건설이 운영중인 국내외 사업장에 연쇄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현재 건축ㆍ토목ㆍ플랜트 등 부문에서 국내 66개, 해외 9개 사업장이 있다. 또 다음달 화성 동탄2신도시 2차 동시분양에서 한화건설과 함께 1817가구를 분양할 계획도 있었지만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공동지분을 가진 한화건설 측도 난감하긴 마찬가지 상황이다.

세종시 1ㆍ2차, 대구 남산동, 경기도 광주 오포, 파주 당동, 충남 내포 등지의 아파트ㆍ오피스텔 공사 현장에 미치는 파장도 우려된다. 이 가운데 극동건설이 시행중인 세종시 1ㆍ2차, 충남 내포 등 사업장은 2270가구를 건설한 계획인 가운데 보증금액이 3280억원에 달한다. 이들 사업장이 부실 사업장으로 분류될 경우 분양자들이 납부대금 환급을 요구하면 사업을 접어야 할 수도 있다. 단순 도급으로 시공사로 참여한 경우에도 공사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거나 시공사 교체가 있을 경우 공사 지연이 따를 수 있다.

건설업계에선 이번 극동건설 법정관리 신청을 두고 ‘결국 올 게 왔다’고 평하면서도 충격을 감추지는 못하고 있다. 1947년 대영건설로 창업한 ‘1세대 건설사’로 1970년대 아산방조제, 서울지하철 1호선, 남양방조제 등 굵직한 공사를 책임지는 등 명성을 날렸던 건설사의 경영난이 결코 남의 일만 같지 않은 탓이다.

극동건설로서는 벌써 두번째 법정관리행이다. 중동건설 붐을 타고 전성기를 구가하던 80년대 인수했던 국제종합건설, 동서증권 등이 IMF 금융위기 당시 잇따라 부도가 나 1998년 첫번째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후 2003년 6월 론스타에 1700억원에 인수되면서 법정관리에서 벗어나 2007년엔 다시 웅진홀딩스를 새주인으로 맞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되는 건설경기 침체 속에선 제대로 힘을 쓸 수도 없었다. 그동안 회사채 발행과 미분양 처분, 모기업 웅진그룹의 자금 지원 등 극동건설의 재기를 위한 노력도 있었지만 이내 한계에 다다른 것이다.

이처럼 극동건설을 비롯한 건설사들이 잇따라 위기 상황에 몰린 건 무엇보다 주택경기 불황 탓이 크다. 앞서 부동산 시장 활황기에 높은 수익성을 가져다 준 주택사업 부문에서 미분양이 속출하면서 자금난으로 유동성 위기에 몰린 것이다. 여기에 더해 공공 부문의 발주 물량도 줄어 국내 시장 의존도가 큰 업체일수록 마땅한 수익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협력업체들은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건설사들의 경영난으로 대금을 제때 회수하지 못할 경우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건설사들은 경기 호전밖에 바랄 수 없는 상황이 답답하다. 한 대형사 관계자는 “국내 경기 침체로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어 해외 수주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지만 우리 업체끼리의 경쟁으로 수익률은 오히려 점차 떨어지고 있다”며 “국내 시장과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크다. 또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를 살리겠다고 나오는 대책들마저 정부와 정치권 합의를 못이루면서 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며 “주택경기를 단박에 살릴 수 있는 단기적 특단의 대책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kgungi@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