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은 2010년부터 매년 민영화가 추진됐으나 유효경쟁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번번히 실패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대선정국 이슈에 밀려 제대로 된 입찰도 없이 무산됐다. 그러나 새 정부가 들어서는 올해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다시 한번 여론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책금융기관도 아닌 우리금융을 정부가 계속 소유하는 데 따른 부담과 부작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박근혜 당선인도 후보 시절부터 “우리금융 민영화는 다음 정권에서 논의해야하지 않겠느냐” 며 민영화 원칙에 사실상 동의한 바 있다. 다만 매각 추정가격이 6조원대에 달하는 거대공룡 우리금융을 분리하지 않고 매각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정치권과 금융권 일각에서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분리해서 몸집을 줄여야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우리금융 고위관계자는 “민영화 작업을 더 이상 미루는 것은 곤란하다” 면서 “시장이 받아들일 수 있는 매각 원칙과 방식을 새 정부가 하루 빨리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민영화의 경우 조기에 결론을 내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책금융공사와 보증기금,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국책 금융기관의 역할이 명확하게 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산은 민영화를 서둘러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게 금융권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산은 민영화는 2009년 여야가 합의한 사항이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민영화 추세에 제동이 걸린 점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ya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