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과 이혼의 경제학
회원수만 11만명 추산…업체도 1193개
달라진 세태 재혼시장도 300억대 달해
결혼비용 평균 男8078만원·女2936만원
남자=집, 여자=살림장만 고정관념 여전
결혼도 산업이다. 독신자 670만명(25~49세) 시대를 맞아 국내의 결혼산업은 더욱 정교하게 진화하고 있다. 한 쌍이 결혼을 하게 되면 얼마만큼의 내수(?)가 창출될까.
2009년 보건복지부가 진행했던 조사에 따르면 결혼에 드는 평균 비용은 남자가 7400만원, 여자가 3349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서 집계한 2009년 혼인 인구는 30만9759쌍이다. 2009년 혼인 인구 수에 평균 비용을 곱해보면 33조3000억원이란 결과가 나온다.
2011년 여성가족부가 25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결혼에 드는 비용은 평균 1억1014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남자가 8078만원, 여자가 2936만원이 든다.
국내에서는 ‘남자가 집을 얻고, 여자가 살림살이를 장만한다’는 관념이 아직 강하기 때문에 남자가 지불하는 비용이 더 크다. 평균 결혼 비용 중 집을 마련하는 데에 드는 비용은 평균 남자가 6465만원, 여자가 512만원이다. 그 외에는 살림살이를 장만하거나 식을 치르고, 신혼여행을 가는 등의 비용으로 소요된다. 2011년 결혼한 인구는 32만9087쌍. 여성가족부의 조사를 통해 전체 결혼 경제 규모를 추산하자면 36조2000억원에 달한다.
직장인들의 눈높이는 훨씬 높다. 한 취업 포털사이트에서 결혼을 준비하고 있는 미혼 직장인 1558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주택 마련과 혼수 등 제반 비용을 합쳐서 총 2억66만원 정도를 평균 결혼 비용으로 꼽았다. 주택 마련에 평균 1억4582만원, 혼수 등에 5484만원이 든다는 것이다. 이 같은 눈높이를 기준으로 결혼 시장 규모를 추산하면 여성가족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산한 결혼 경제 규모보다 훨씬 커진다.
결혼산업(?)은 결혼에 이르기 전 단계부터 활성화돼 있다. 결혼정보업체 시장의 발전상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1980년대 후반 시작된 결혼산업은 90년대 초 50억원 규모로 그 시장이 성장하더니 90년대 후반에는 자본금 5억원 이상의 대형 업체도 탄생했다. 2000년대 초 500억원 규모로 성장한 결혼정보 시장은 지난해 그 규모가 1000억원까지 커졌다. 결혼정보업체를 이용하고 있는 회원 수만 해도 11만명으로 추산된다.
결혼정보업체 수만 해도 지난해 기준 1193개다. 이 중 대부분은 1인 업체 등 영세한 규모다. 결혼정보업체는 신뢰도가 중요하다는 특성상 규모가 큰 업체에 소비자들의 수요가 몰리고 있다. 상위 6개 업체로 꼽히는 듀오, 가연, 닥스클럽, 선우, 행복출발, 디노블의 시장 점유율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결혼정보 시장은 성장이 꾸준한 것이 큰 매력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결혼을 생각하기 때문에 고정적인 수요가 창출되기 때문이다. 업계의 평균 성장률인 15%가량의 성장이 계속된다면 2015년께에는 1700억원대로 그 시장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결혼 시장의 성장 못지않게 이혼과 재혼 시장도 커지고 있다. 재혼 시장은 전체 결혼 시장의 3분의 1 정도에 달할 정도로 그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그 시장 규모가 300억원대에 달한다는 것이다. 재혼 시장의 성장은 어려운 결혼생활은 일찍 접고 새롭게 출발하려는 이들이 많아지는 현상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도현정 기자/kate01@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