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정년 60세’ 민간기업서는 ‘그림의 떡’
뉴스종합| 2013-04-24 09:19
10대그룹 직원 평균 9.3년 근속…공기업은 15년

“대부분 40세 전후 퇴직…적용 대상 되기 어려워”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한 ‘정년 60세 의무화 법안’이 근속연수가 비교적 긴 공기업 직원들에게는 상당히 유효하지만 근속연수가 10년에도 못치는 대다수 일반기업 직원에게는 그다지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재벌ㆍCEO 경영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0대 대기업의 93개 상장사와 9개 공기업 직원들의 근속연수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9개 공기업의 근속연수는 평균 15.0년인 반면 10대그룹 직원들은 9.36년에 불과했다.

대기업 직원들은 30세에 입사한다 해도 대부분 40세 전후에 퇴직을 하게 되며 40세를 넘긴다 하더라도 40대 후반에 임원으로 승진하지 못하면 자리를 지키기가 힘든 상황이어서 정년 60세는 ‘그림의 떡’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고용이 더욱 불안한 상황이어서 60세 정년의 혜택을 기대하기는 더욱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 결과 여성 근로자의 근속연수는 남성 근로자(10.2년)의 절반에 가까운 6.6년에 불과했다. 근속연수는 기업 주요 업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그동안 호황을 누렸던 조선, 자동차 등을 주요 업종으로 하는 현대중공업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은 평균 13.1년과 11.7년으로 1, 2위를 차지했다. 한진그룹과 포스코그룹도 11.4년과 11.2년으로 상위그룹에 들었다.

반면 식음료, 유통 같은 B2C(기업-소비자간 거래)산업 비중이 비교적 높은 LG그룹과 GS그룹은 각각 7.7년, 롯데그룹은 8.2년 등으로 평균보다 낮았다. 한화(11년), 삼성(8.6년), SK(8.4년)는 중위권이었다.

근속연수를 공개한 공기업중에서는 한국전력공사가 18.4년으로 가장 길었다. 이들 9개 공기업 남자 직원 근속연수는 16.8년이나 됐고, 여자 직원 평균 근속연수도 9.3년으로 전체 대기업 평균과 맞먹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1년 국가별 근로자 근속연수에서는 한국은 6.1년으로 OECD국가 중 하위권이었다. 포르투갈이 12.9년으로 가장 길었고, 프랑스, 독일이 각각 12년과 11.5년으로 뒤를 이었다.

재계 관계자는 “60세 정년안이 확정되면 상대적으로 근속연수가 길고 고용이 안정돼 있는 공기업과 노조의 영향력이 강한 일부 대기업의 직원들에게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ke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