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현장에서] 그들에게 정치적 프레임을 씌우지 말라
뉴스종합| 2014-09-01 08:31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유민아빠’ 김영오 씨의 단식 중단 발표 기자회견 현장. 사회의 관심을 반영하듯 서울시립 동부병원 3층 입원실 앞은 기자들로 가득찼다. 가족대책위 유경근 대변인은 “성역없는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해 언론이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그 뜨거운 열기로 취재한 기사들이 신문과 방송, 인터넷에 오른다. 온라인에선 다양한 반응이 넘쳐 난다. 그런데 세월호 가족에 대한 응원과 반대, 무관심에서부터 자식을 잃고 진실을 요구하는 부모에 대한 조롱까지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고 있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김영오 씨에게 ‘금속노조’란 주홍글씨가 새겨지고 사생활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이같은 조롱은 극심해졌고 한 뮤지컬배우는 저주에 가까운 막말을 쏟아내기도 했다.

유가족들은 정치적 투쟁을 하는 게 아니다. 의사자 지정이나 대입 특례입학 등 특혜를 원하는 것도 아니라고 누차 밝혀왔다. 보험금이나 보상금을 더 받아내기 위해 목숨을 건 단식을 하는 것도 아니다. 그들이 원하는 건 오로지 ‘진상규명’이다.

유가족들의 행위엔 정치적 목적이 담겨져있지 않지만, 물론 그 과정과 결과물은 어쩔 수 없이 정치적으로 매듭지어질 수 밖에 없어 보인다.

정치는 입법과정이다. 만인이 만족하는 결과물(법)은 없다. 이해 당사자들의 입장은 언제나 다르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그렇고 사용자와 근로자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정치는 대화와 타협의 산물이다. 조금씩 양보하지 않으면 더 큰 것을 잃기 때문이다.

해결책이 없는 것도 아니다. 다만 양보와 신뢰가 필요할 뿐이다. 유가족들이 원하는 건 철저한 진상규명이다. 그건 정부도 바라는 일이라고 믿고 싶다. 문제는 그걸 담보할 특별법이며 더 정확히는 특별검사 추천권 배분이다.

여당이 추천권을 양보할 수 없다면 실질적으로 유가족이 수긍할만한 인물을 추천하면 된다. 민생법안, 경제살리기 이야기가 나온지 오래다. 경제가 활력을 찾지 못하면 모두가 더 큰 것을 잃는다.

세월호와 관련해 피곤해 하는 국민들이 많다. 정치권도 이를 알고 있고, 유가족도 알고 있는 일이다. 더이상 신뢰와양보를 도출하는 것에 외면해선 안된다. 신뢰와 양보의 주체는 대승적 타협을 통해 이뤄내야 할 일이다. 세월호에 대한 매끈한 매듭, 정말 서둘러야 할 일이라는 데서는 이견이 없다.

badhoney@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