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나이 많을수록, 소득 적을수록 ‘우울증’ 경험률 높다
뉴스종합| 2014-09-14 09:04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우리나라 성인 8명 중 1명은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느낄 정도의 우울증을 겪은 적이 있고, 특히 나이가 많거나 소득이 적을 수록 우울증 경험률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의료기관 등을 찾아 이 같은 정신적 고통을 적극적으로 상담·치료받는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14일 질병관리본부가 ‘세계 자살 예방의 날(10일)’을 맞아 발표한 ‘한국 성인의우울증상 경험’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전국 3천840가구 대상) 결과, 19세이상 성인의 12.9%가 “최근 1년안에 우울증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 조사에서 우울증은 연속 2주이상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슬픔·절망을 느낀 경우로 정의됐다.

여성(16.5%)의 우울증 경험률이 남성(9.1%)의 1.8배에 이르렀고, 연령별로는 70세 이상(17.9%)에서 우울증이 가장 흔했다. 이어 60대(15.1%)·50대(15.0%)·40대(12.9%) 순으로, 대체로 나이가 들수록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었다.

또 가구의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증 경험률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저소득층(소득 하위 25%)에서는 이 비율이 15.3%였지만, 고소득층(상위 25%)은 이보다4.4%p나 낮은 10.9%에 그쳤다. 소득 중하·중상위층의 우울증 경험률은 각각 13.1%,11.3%로 집계됐다.

거주 지역을 도시와 농촌으로 나눠보니, 도시(12.3%)보다 농촌 거주자(16.5%)의우울증 빈도가 더 높았다.

하지만 이처럼 우울증이 사회 전반에 퍼져있음에도, 관련 상담과 치료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우울증상을 경험한 사람 가운데 최근 1년간 정신건강 상담을받은 사람은 9.7%에 불과했다. 여성(11.3%)보다 남성(6.8%)이, 상대적으로 젊은 19~64세(10.8%)보다 65세이상 노인층(5.0%)이 특히 상담과 치료를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윤아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연구원은 “우울증 상담·치료율이 낮은 것은전문가 도움을 받아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한 질환이라는 인식이 부족한데다 정신건강 상담·치료에 대한 사회적 편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우울증은 개인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장애를 유발하는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문제일 뿐 아니라 우울증과 자살에 따른 사회경제적 부담도 10조3천800억원(2011년 기준)에 이른다”며 “우울증에 대한 보다 적극적 인식 개선 노력과 함께사회적 지원 체계를 갖춰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kty@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