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오는 17일 열리는 KB 금융이사회의 결과에 따라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의 운명이 바뀔 전망이다. 금융위원회의 직무정지라는 초강수 조치에도 불구하고 임 회장이 사퇴를 거부하면서 KB금융 이사회가 ‘태풍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
일각에선 KB금융지주 사외이사들의 독립성이 강한데다 임 회장과 사외이사들의 친분이 두터워 임 회장이 해임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또 다른 한 켠에선 대형 금융회사가 정부의 뜻을 꺾기는 힘들다며 결국 ‘백기’를 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금융 당국의 ‘SOS’…이사회 의결이 종착점?=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재윤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전날 이경재 KB금융지주 이사회 의장을 만나 KB금융그룹의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위해 이사회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주문했다.
이 ‘역할’은 이사회가 해임을 결의해 임 회장을 내쫓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정부가 이사회의 협조를 얻으려는 것은 사실상 이사회의 해임 결의 외에는 임 회장의 사퇴를 끌어낼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임 회장이 3개월의 직무정지를 당했지만, 사퇴를 거부한 이상 3개월 후에는 회장으로 복귀할 수 있다. 게다가 금융감독원이 임 회장을 검찰에 고발했지만, 검찰이 금융당국의 뜻과 일치하는 수사 결과를 내놓을지도 미지수다. 검찰 수사 후에도 재판 과정을 거쳐야 해 상당 오랜 기간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한 금융권 인사는 “현실적으로 임 회장을 내쫓을 방법은 이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수밖에 없다”며 “KB 사태의 향방은 이사회가 어떠한 길을 가느냐가 좌우하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KB금융지주 이사회는 이와 관련 오는 17일 임시 이사회를 소집해 임 회장의 해임 의결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KB금융지주 이사회는 임 회장과 사외이사 9명 등 10명으로 이뤄져 있지만, 임 회장의 직무정지로 당분간 사외이사 9명 체제로 가동된다.
‘이사의 직’ 해임은 주주총회 결의 사항이지만, ‘대표이사’ 해임은 이사회 과반수의 의결로 가능하다. 이에 따라 17일 이사회에서 임 회장의 해임이 의결되면 임 회장은 회장직을 그만두게 된다.
KB금융지주 이사회 이경재 의장은 이와관련 “그날 논의를 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사외이사들의 생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어떤 결정이 내려질 지 예단할수 없다”고 말했다.
▶“독립성 강하고 친(親) 회장 성향…KB금융의 마이 웨이 가능성도=이날 열리는 KB금융지주 이사회의 향방은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을 전망이다. 해임과 그 반대의 시나리오가 동시에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선 KB금융그룹에서 사외이사의 힘은 막강하다. 그룹 회장, 국민은행장 등의 선임이나 중요한 경영 의사결정에서 사외이사들이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그만큼 자부심과 독립성이 강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금융당국에서 그룹 경영에 관여하려고 할 때마다 이사회는 이를 거부해 왔다. “남의 집안 일에 웬 참견이냐”는 입장이라는 애기다.
실제 지난 2009년 황영기 전 KB금융 회장의 사임으로 후임 회장의 선임이 필요할 때 당국에서는 다음 해 3월 정기주총 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했다. 명분은 사외이사 제도 개편이었지만 속내는 정권이 원하는 인물을 앉히는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하지만 당시 사외이사들은 단호하게 ‘노(NO)’라고 말했고,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을 회장으로 내정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KB금융그룹에 대한 고강도 검사로 강 전 행장을 압박해야 했고, 결국 강 전 행장은 물러났다.
지난해 임 회장의 선임 때도 마찬가지 상황이 벌어졌다.
정부에서는 정권 창출에 기여한 모 후보를 KB금융 회장으로 원한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사외이사들은 임 회장을 선택했다. 임 회장이 밉보인 게 이 때부터라는 얘기도 있다.
더구나 9명의 사외이사 중 3명만 올해 사외이사가 됐을 뿐, 나머지 6명은 임 회장이 2011년 KB금융지주 사장이 된 후 오랜 기간 임 회장과 호홉을 맞춰 온 사람들이다.
어윤대 전 회장 재임 때도 어 회장과 임 사장의 의견이 갈릴 때면 사외이사들이 임 사장의 편을 들었을 정도로 관계가 끈끈하다는 얘기도 들린다. 당국의 뜻을 관철하는 게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KB는 대형 금융사…결국 정부 뜻 따를 것” 관측도=하지만 정반대의 시각도 있다.
금융당국이 검찰 고발, 감독관 파견, 내부통제 정밀진단 등 전방위로 KB금융그룹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국 ‘백기’를 들고 말 것이라는 관측이다.
금융 당국은 임 회장의 직무정지 후 지주사에 파견한 7명의 금감원 감독관 외에 은행 등 전 계열사에 감독관을 2~3명씩 보내기로 했다. KB금융그룹 내부에서 임 회장의 조력자가 나오지 않도록 철저히 감시하겠다는 것이다.
나아가 임 회장을 비롯해 국민은행의 주 전산기 교체 과정에서 위법ㆍ부당한 행위를 저지른 핵심 관련자를 15일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이미 검찰은 국민은행의 내분을 불러온 전산기 교체 의혹과 관련해 서울지검 특수부에 사건을 배당하고 사실관계 조사에 착수한 상태여서 금감원 고발이 이뤄지면 수사 대상과 범위는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CEO(최고경영자) 리스크를 중심으로 KB금융그룹 전반의 내부통제에 대한 정밀 진단을 계획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이처럼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너가 운영하는 재벌기업도 아닌 KB금융지주가 이에 맞서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형 금융회사로서 당국의 협조를 얻지 않으면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어렵다는 현실론에 기반한 관측이다.
한 금융권 인사는 “김정태 전 행장, 황영기 전 회장, 강정원 전 행장 등 KB의 역대 수장 중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은 사람 중 물러나지 않은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느냐”며 “이사회도 결국 현실을 인정하고 임 회장의 사퇴를 의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