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
인도 金시장 1조弗…황금에 춤추는 ‘코끼리 경제’
뉴스종합| 2014-10-01 11:32
수입관세 올리자 경상수지 개선…금 밀수 급팽창 부작용도 속출


‘황금에 좌우되는 인도 경제’

미국의 출구전략으로 지난해 취약 5개국로 지목됐던 인도의 코끼리 경제가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인도 경제의 핵심에는 ‘황금’이 자리한다.

인도정부는 금 수입 규제로 최대 골칫거리였던 경상수지 적자를 대폭 완화했다. 이에 힘입어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도 5.7%로 2년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금 밀수를 비롯한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민간 황금시장 1조弗= 인도는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금 소비국이다. 민간이 보유한 금만 2만t에 달한다. 시가로 1조 달러(1055조원)이고 인도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시가총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하지만 최근 보석상 주인은 지난해부터 이어지는 매출하락에 울상이다. 정부가 금 수입 관세를 올리면서 금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2012년 2%였던 금 수입관세는 10%까지 올랐다.

인도 정부가 금 수입을 제한한 것은 막대한 경상수지 적자를 줄이고 루피화 가치 급락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실제로 소비주도 경제인 인도는 금 수입이 늘어나면서 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가 크게 늘었다. 금은 원유에 이어 인도 최대 수입품으로 경상수지 적자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2006년 1%였던 경상적자는 2012년 4.7%까지 상승했다.

경상적자 증가는 루피아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지난해 5월 ‘버냉키 쇼크(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언급)’이후 올해 8월까지 달러 대비 30% 평가절하됐다.

금 수입관세 인상 효과는 곧바로 나타났다. 2012년 1079t이었던 금 수입은 지난해 825t으로 급감했다. 경상수지 적자는 2013년 GDP의 2%까지 감소하다 지난 2분기 1.7%로 떨어졌다.

▶금 밀수 급팽창=그러나 세계금협회(WGC)의 뭄바이 사무소 뷔핀 샤마는 “금수입관세 인상이 매우 비생산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만큼 금 밀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만 금 150~200t이 인도로 ‘몰래’ 들어왔을 것으로 추산됐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전체 금 수입은 크게 줄지 않았다는 의미다.

금 밀반입은 오는 23일 인도 3대 명절이자 추석 격인 디왈리(Diwali) 축제를 앞두고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디왈리는 금 최대 성수기로, 금 수요가 이 기간 중 한 달 60t으로 증가한다.

금 밀수는 업계 전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밀수품이 늘면서 정품을 취급하는 업체는 타격을 입었고, 50만개 보석상에서 일하는 보석 장인들의 고용도 위협받고 있다. 또 밀수는 돈세탁을 비롯한 불법자금의 온상이 됐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