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미래부ㆍ방통위 공무원들도 통신요금 바가지 당한다?
뉴스종합| 2014-10-13 10:09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과 방송통신위원회 이용자정책국 등 통신 정책을 주무르는 공무원들도 통신사들의 ‘패키지 요금제’로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주무 공무원들조차 주워진 무료통화나 데이터, 문자를 100% 활용하지 못했다.

13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홍의락 의원이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과 방송통신위원회 이용자정책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LTE 정액요금제를 사용하는 담당 공무원 30명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월평균 문자 제공량의 44.4%를 쓰지 못하고 남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음성 통화의 경우 20.4%를, 데이터는 17.7%를 미사용으로 남겨뒀다.

통신 정책을 만들고, 또 통신사들의 요금제를 인허가 하는 주무부처 공무원들 조차, 통신사가 데이터와 음성전화에 문자 등을 끼워 파는 정액 요금제를 가입하면서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나마 이들은 일반 소비자들에 비해서는 활용도가 높았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LTE 62요금제 사용자의 평균 통화 사용량은 68.0%, 문자는 28.6%, 데이터는 56.7%에 불과했다. 사실상 실제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 대비, 2배에 가까운 요금을 추가 지불하고 있다는 의미다.

홍 의원은 “소비자들이 통신서비스 잔여량만큼 통신요금을 추가 납부하고 있는 셈”이라며 “미래부와 방통위는 통신 정액요금제 사용량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수단 및 관리, 감독권 등을 활용해 정액요금제에서 적어도 문자는 분리 징수하는 등의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홍 의원이 미래부와 방통위를 통해 이동통신 3사에 요구한 ‘2014년 1~8월 간 LTE 52, 62, 72 정액요금제 사용자의 월평균 통화, 문자, 데이터 실제 사용량 및 잔여량 자료’는 “영업비밀”을 이유로 제출되지 않았다.

choijh@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