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서울시 연탄난방 10곳 중 8곳 ‘무허가 건물’ 안전 취약
뉴스종합| 2015-03-23 11:02
서울 시내에서 연탄불을 때는 가구의 83%가 무허가 건물로 연탄가스, 화재 등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서울연구원이 발간한 ‘서울시 연탄난방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서울시 연탄난방 가구는 5193가구로, 무허가 건물이 82.9%에 달한다.

자치구별로 보면 노원구에 약 48%인 2470가구가 분포돼 있고, 성북구, 서대문구, 관악구에도 연탄난방 가구가 몰려 있다. 이들 4개 자치구의 연탄난방 가구는 전체의 53%에 달한다.

문제는 연탄난방 가구의 82.9%가 행정 사각지대에 있는 무허가 건물이라는 점이다. 무허가 건물은 소방당국 등의 관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연탄가스, 화재 등 안전사고에 항상 노출돼 있다.

보고서는 “연탄난방 가구는 판자촌이나 비닐하우스 구조로 집단적으로 밀집돼 있어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하다”면서 “건물 자체가 노후화돼 난방 및 보온에도 취약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 시내 연탄 이용자 196가구를 실태조사한 결과 55.2%가 세대주 연령이 70대 이상으로, 소득 수준은 차상위계층이 68.9%, 기초생활수급자가 28.1%를 차지했다.

연탄난방 가구의 건축연도는 1979년 이전이 82.5%로 노후화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다. 건물 관련 최초의 단열기준이 설정된 시기가 1980년인 점을 감안하면 서울시 연탄난방 가구는 대부분 단열이 이뤄지지 않는 건물로 추정된다.

아울러 연탄난방 가구 거주자 2명 중 1명은 연탄가스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탄가스로 인한 신체적 증상을 호소한 가구가 44.3%로, 이중 ‘머리가 아프다’고 답한 가구는 22.4%, ‘냄새가 난다’는 가구는 21.9% 각각 집계됐다. 주로 연탄난방 가구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이 두통을 호소했다.

특히 연탄보일러를 사용하지 않고, 보조난방으로 연탄난로를 사용하는 가구의 안전문제가 심각했다. 보조난방으로 연탄가스 안전도를 분석한 결과 고통을 호소한 가구가 59.7%에 달했다.

보고서는 “무허가 건물은 열화상카메라 등의 장비를 활용해 단열 취약부분을 파악하는 등 간단한 에너지진단으로 현장에서 해결할 수 있다”면서 “에너지전환사업으로 10년간 연평균 200가구를 지원해 연탄난방 2000가구를 도시가스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원혁 기자/choig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