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산업 고용창출 능력 1년새 1/6로 ‘뚝’…고용없는 성장 심화
뉴스종합| 2015-05-03 11:01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국내 산업의 고용창출 능력이 최근 1년 사이에 6분의1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없는 성장’이 심화되고 있는 셈으로, 경제 전반의 고용창출 능력 확대와 성장잠재력 제고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3일 ‘산업 수요 측면에서 본 고용 상황과 시사점’이란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종사자 1인이상 사업체의 노동력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사업체(비농 전산업)의 종사자 증가규모는 작년 1분기 16만7000명(전년동기대비)에 달했지만 이후 감소세가 지속돼 올 1분기에는 약 2만7000명에 그쳤다.

국내 기업들의 고용창출 능력이 갈수록 약화하면서 산업 종사자 수 증가규모가 1년 사이에 6분의1로 줄어든 것이다.

특히 서비스업 고용은 증가한 반면 제조업과 건설업의 감소가 심각했으며 주력 제조업의 중소기업 종사자가 크게 줄었다.

올 1분기 서비스업체의 종사자는 1년전보다 7만3000명 늘었지만 제조와 건설 분야에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4만5000명 줄었다.

이 가운데서도 주력 제조업의 중소기업 종사자 감소폭이 컸다. 국내 제조업체 종사자는 지난해 1분기 2만9000명 증가했지만 올 1분기엔 약 1만1000명 줄었다. 주력 제조업 중 섬유ㆍ의복, 조선, 전기장비 업종의 종사자 수는 약 2만2000명 감소했다.

건설업의 고용 감소도 심각하다. 최근 건설업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체의 종사자는 1년전에 비해 3만4000명 감소했다.

서비스 업종 내 고용의 온도차는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났다. 서비스업체의 종사자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숙박ㆍ음식업, 사업서비스업 외 도소매업 등의 종사자는 올 1분기에 전년동기대비 약 1만6000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경제 전반의 고용 창출력 확대와 산업의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호정 연구위원은 구체적인 방안으로 ▷산업의 고용 수요 확대를 가로막는 경직적 노동시장 제도의 개선 ▷기업의 신규투자 유도와 정부의 고용지원금 확대 등 산업별 차별화된 고용지원 전략 ▷중소 사업체의 자유무역협정(FTA) 활용도 제고와 고용 지원을 통한 고용 감소 방어 ▷고부가가치 및 고기술화에 투자를 집중으로 한 새로운 주력 산업과 일자리를 발굴 ▷경기 불황 지속에 따른 실직자를 위한 맞춤형 일자리 정책 강화 등을 제시했다.

/hjle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