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015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26.0% 증가한 8022만5000㎡, 동수는 8.1% 증가한 12만6294동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2009~2014년 상반기 평균 대비 건축 인허가 면적은 26.6%(2133만3000㎡), 동수는 10.4%(1만3085동) 증가했다.
▶인허가, 착공 늘어난 가운데 수도권 두드러져=수도권의 인허가 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5%(1401만7000㎡)늘어난 3926만㎡를 기록했고, 지방은 6.6%(254만1000㎡) 더많은 4096만4000㎡가 인허가가 났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건축 허가 면적 증가 폭이 컸는데, 연립주택(505.3%) 아파트(83.2%), 다중주택(69.1%)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착공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37.1% 증가한 7110만7000㎡, 동수는 11.7% 증가한 10만9072동을 기록했다. 수도권의 경우 지난해 같은기간에 78.2%(1454만3000㎡) 늘어난 3315만2000㎡를 지방은 14.1%(470만2000㎡) 가 늘어난 3795만5000㎡로 조사됐다.
인허가 면적이 증가한 반면 준공면적은 감소했다. 준공면적은 13.5% 감소한 5227만㎡, 동수는 0.1% 증가한 8만8016동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19.5%(497만㎡) 감소한 2038만9000㎡를, 지방은 9.1%(320만2000㎡) 줄어든 3188만1000㎡를 기록했다.
▶주거용, 상업용 늘고 공업용 감소=용도별로 보면 주거용 건축 허가면적은 3311만6000㎡, 상업용 2376만8000㎡, 문교사회용은 525만2000㎡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각각 29.3%, 37.7%, 37.6% 늘었다.
공업용은 794만1000㎡로서 0.2% 감소하였다. 착공면적은 주거용이 48%늘어난 3075만5000㎡, 상업용이 50%늘어난 2024만4000㎡를 기록했다. 공업용 건축물 면적은 44.7% 증가한 764만7000㎡를 기록했다.
준공면적은 용도에 따라 차이가 났다. 상업용은 늘어난 반면, 주거용과 공옵용, 문교사회용은 감소했다. 준공면적은 상업용 1419만9000㎡로서 10.1% 증가했고, 주거용 1981만1000㎡, 공업용 710만6000㎡, 문교사회용은 395만4000㎡로서 각각 9.0%, 37.2%, 38.0% 감소했다.
또,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37.7%), 착공(50.0%) 및 준공(10.1%)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 허가는 판매시설(62.8%), 착공은 업무시설(79.7%), 준공은 판매시설(43.1%)의 증가율이 높았다.
아울러 전년 동기 대비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은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허가, 착공, 준공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주요 건축물의 층수별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수원시 광교택지개발지구 내 중흥S클래스(49층), 용인시 기흥구 센트럴푸르지오(49층), 안산시 단원구 메트로타운푸르지오힐스테이트(47층) 등이, 지방은 천안시 중흥시티프라디움(49층), 거제시 경동리인타워(37층), 밀양시 삼문동 신축아파트(35층) 등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 보면 연면적 100㎡이하의 건축물의 인허가, 착공, 준공이 가장 많았다. 규모별 건축 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상반기 인허가 물량의 45.6%인 5만7546동으로 가장 많았고, 100~200㎡ 건축물이 2만2829동(18.1%), 300~500㎡ 건축물이 1만7285동(13.7%)이었다.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4만9006동으로 전체의 44.9%를 차지했다. 100~200㎡ 건축물이 1만8657동(17.1%), 300~500㎡ 건축물이 1만5930동(14.6%)이었다.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3만4915동으로 전체의 39.7%를 100~200㎡ 건축물이 1만6184동(18.4%)이었다. 300~500㎡ 건축물은 1만3934동(15.8%)이다.
▶단독주택 멸실 가장 많아=용도별 건축물 멸실현황을 보면, 주거용292만2000㎡(2만3948동)이 가장 많았고,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156만㎡(5389동), 55만1000㎡(771동), 21만9000㎡(342동)로 그뒤를 이었다. 주거용 건축물 멸실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61.9%인 181만㎡(2만867동)를 차지했다.
다가구주택 48만6000㎡(2226동), 아파트 33만5000㎡(155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41.9%인 65만3000㎡(2561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57만㎡(2183동), 업무시설 83천㎡(45동)으로 나타났다.
coo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