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취업난, 장기불황에...하루 평균 38명 ‘자살’
뉴스종합| 2015-09-27 06:01
[헤럴드경제=이세진 기자]최악의 취업난과 장기불황에 따른 생활고 등으로 지난 한해동안 매일 우리국민 38명이 자살이란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특히 온가족이 모이는 추석이면 상대적으로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고, 그래서 명절 연휴기간동안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도 많다.

자살은 ‘순간의 고비’다. 아무리 오랫동안 자살을 생각해 왔다고 하더라도, 몸을 던지고 손목을 긋는 행동은 순식간에 일어난다.

따라서 복지제도 등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근본적인 해결책과 더불어, 순간의 위기를 넘기도록 하는 즉각적 대응과, 다시 자살을 시도하지 못하도록 하는 사후 관리가 절실하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긴급전화나 자살예방센터ㆍ응급의료기관 등이 실질적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두차례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자살률이 낮아지는 가시적 성과 없이 2013년 계획 기간이 종료됐다.

2012년에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약칭 자살예방법)’이 시행됐다.

이 법에 따르면 정부는 5년마다 새로운 자살예방기본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러나 법이 시행된 후 지금까지 정부가 발표한 자살예방계획은 ‘0’. 이에 자살방지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올해 안으로 관련부처ㆍ전문가와 협의해 자살예방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법이 시행된지 3년째로 아직 초기단계기 때문에 인프라가 부족한 건 사실이며 이를 확대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9월 현재 전국 지자체에 설치된 건강증진센터는 224곳. 이곳에는 자살예방 담당 인력들이 배치돼 있다. 자살위기상담 전화도 전국 단위로 24시간 가동한다. 이외에도 민간에서 운영하는 생명의 전화 등이 24시간 상담을 받는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이것이 많은 생명을 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야간 긴급상황에서 상담사가 출동한다던가, 자살 고위험군ㆍ시도자에 대한 추적성 관리 체계가 잘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정택수 한국자살예방센터 센터장은 “상담한 사람 중에는 긴급상담전화를 이용해봐도 위로가 전혀 안 됐다며 정신과 병원을 안내해 주기만 하거나, 밤중에 아예 통화가 되지 않을 때도 있었다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 상태로라면 한국의 자살률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일침했다.

자살방지에 대한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지적도 있었다.

정택수 센터장은 “국가 차원에서 고위험군에 대한 전반적 관리가 들어가야 한다”며 “예컨대 한 지역에서 고위험군이 몇 명이고 이 중에 자살을 실제로 시도한 사람이 몇명인지, 어떤 이유때문에 자살을 시도하는지 등의 정보를 경찰ㆍ병원ㆍ센터가 협력해 리스트를 만들어 추적해 우울증 완치까지 ‘손바닥에 올려놓은 것처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인력 부족도 풀어야 할 과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이상영 선임연구위원은 “일년에 만 오천명이 자살한다고 하면 만 오천개의 서로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이라며 “이 문제를 하나둘씩 현장에서 풀어나가야 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으로 시작해야 하는데 일선에서 뛰는 전문가 양성과 활용이 너무나 부족한 실태”라고 말했다.

jinlee@heraldcorp.com



사진=헤럴드DB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