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지하철역 병원ㆍ약국 설치 무산 위기
뉴스종합| 2016-03-04 10:02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업자 모집에 응찰자 없어
-도철 측 “임대료 분할 납부 및 계약기간 10년까지 연장”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서울도시철도공사(이하 공사)가 지하철역내 병원ㆍ약국을 유치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정작 나서는 사업자가 없어 무산 위기에 놓였다.

4일 최판술 서울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공사가 올해 1월부터 지하철 역사 내 병원ㆍ약국 설치를 위해 사업자를 모집했나 단 한 건만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공사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편리하게 병의원과 약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주요 거점 역사마다 병원과 약국 설치를 추진해왔다.

주요 역사에 ‘메디컬 존(Medical Zone)’을 따로 만들어 지하철 이용자의 응급ㆍ위기 상황시 신속한 초기대응을 도모하고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기본 골자다.

공사가 시민 대상으로 실시한 역사 내 병의원 설치 관련 설문조사에서는 92.6%가 역사 내 병의원 설치에 대해 긍정적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는 올해 메디컬 존 개설을 위해 우선, 1단계로 3월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DMC역, 장지역에 병의원을 시범 설치할 예정이다. 2단계는 5호선 14곳, 6호선 6곳, 7호선 10곳, 8호선 3곳의 거점역에 설치한다. 3단계는 전 역사 확대를 통해 의료구난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거점역 설치시 연간 약 33억원의 수익창출을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메디컬 존 개설은 시작부터 삐걱대고 있다.

공사의 해당 사업 추진 소식을 접한 서울시의사회는 “의료 자원이 서울에 집중돼 있는 현실에서 지하철역에까지 병의원을 입점 시키는 것은 의료기관 편중을 심화시키고, 감염병 급속 전파 등의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한 바 있다.

또, 지난 1월 19일 메디컬존 개설 1단계 사업 대상지인 DMC역, 장지역의 우선협상대상자를 모집했으나 낙찰자는 나오지 않았다. 공사는 곧바로 2월 16일 재입찰을 공고했으나 개찰일인 3월 2일까지 참여한 의약사가 한명도 나타나지 않아 또다시 유찰됐다.

최 의원은 “의료기관은 건강한 사람보다는 환자들이 찾는 곳이다. 만약 메르스 환자가 거점 역사 내 병원을 방문했다면 그 역사는 폐쇄해야만 한다”며 “역사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런 부분을 고려한다면 공사의 사업 추진 전략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공사는 입찰 무산 원인이 임대료 부담과 계약기간에 있다고 보고, 임대료 분할 납부와 계약기간 연장(기존 5년에서 최장 10년) 등을 통해 계속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choig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