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카드뉴스]잊어서는 안되는 한국의 아우슈비츠, 형제복지원
HOOC| 2016-04-27 18:48

[HOOC=서상범 기자ㆍ이영돈 인턴]아우슈비츠. 인권 유린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이 곳은 나치스 정권이 유대인은 물론, 예술가, 부랑인 등 무고한 이들을 사회와의 교화라는 이름으로 만행을 저지른 곳입니다.

한국에도 아우슈비츠 수용소와 꼭 닮았던 시설이 있었습니다. 바로 부산의 형제복지원입니다.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존재했던이 곳은 국내 최대의 부랑인 수용시설이었습니다. 3000명이 넘는(1987년기준) 원생들이 수용됐던 이 곳은 표면적으로는 장애인이나 정신병자들을 보살피는 사회복지시설로 존재했죠.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사회정화라는 명목으로 저소득층이나 떠돌이, 행려병자 등을 붙잡아, 사회에서 단절시키기 위해 이 시설을 이용했습니다.

수용소의 생활은 지옥 그 자체였습니다. 소대 단위로 편제돼 중대장ㆍ소대장ㆍ조장의 서열로 관리된 ‘군대’였고 ‘수용소’였습니다.

선착순, 한강철교 등 기합은 물론, 욕설과 구타가 매일 이어졌고, 성폭행까지도 수시로 발생했습니다.

복지원 주변에는 새로운 무덤이 계속 늘어났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것만 531명의 원생들이 이유도 모른체 죽어나갔습니다. 그 중 상당수의 시체는 대학병원 등에 해부용 시신으로 제공돼 사라졌습니다.

참상이 세상에 알려졌지만 변한 것은 없었습니다. 당시 책임자였던 원장 박인근은 횡령죄 등으로 가벼운 처벌을 받았을 뿐 불법구금, 폭행, 살인 등에 대해서는 재판조차 받지 않았습니다. 그는 항소심을 거쳐 징역 2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을 뿐 입니다.

이 지옥이 세상에 다시 알려진 것은 지난 2012년 당시 생존자 한종선씨의 1인 시위와 그의 책 ‘살아남은 아이’를 통해서였습니다.

이후 피해자들은 국가를 상대로 인권침해에 대한 진상 조사와 배상에 관한 특별법을 요구했지만 진전된 것은 없습니다.

최근 다시 형제복지원의 참상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AP 통신이 이 사건을 집중 조명했기 때문입니다. AP는 피해자 등 관련자 십여 명을 직접 인터뷰하고 수백 건의 관련 문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형제복지원에서의 인권 학대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잔인하고 널리 퍼져 있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생존 피해자들은 말합니다. 과거 정부가 조직적으로 은폐한 이 사건으로 인해 지금도 피해자들은 고통 속에 살고 있다고 말이죠. 제대로 된 진실규명을 통해 희생자들을 조금이나마 위로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tiger@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