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국내 39개 대기업 설문조사]“신사업 밑그림 그리는 중” 54%…빅데이터·新에너지에 승부수
뉴스종합| 2016-05-16 11:39
新조직 만들거나 조직 확대 의향
별도 조직에 부정적 답은 7.7%뿐

사물인터넷·로봇·드론 등도 관심
3D프린터·심층해양수 등 무신경
눈앞 유행보다 차별화기술 핵심



“관광부터 의료, IT, 로봇, 빅데이터, 그리고 콘텐츠까지”

우리 기업들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치열한 탐색전이 시작됐다. M&A를 통해 새 업종에 진출하겠다는 곳부터 주력 사업의 다각화를 노리는 곳, 또 새로운 시장 개척을 노리는 기업까지,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방법도 다양했다.

16일 헤럴드경제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3.8%가 신사업 추진을 위해 새 조직을 만들거나 기존의 조직을 확대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지금의 매출, 또는 시장 점유율에 만족하지 않고, 더 큰 신시장을 그리는 기초 작업에 절반이 넘는 기업이 이미 착수했다는 의미다. 


또 아직 그럴 기회를 갖지는 못했지만 기회가 생기면 새로운 조직을 만드는 걸 적극 검토하겠다는 곳도 전체의 38.5%에 달했다. 별도의 조직 만들기에 부정적인 기업은 7.7%에 불과했다.

우리 기업들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빅데이터에 기반한 신 서비스 산업’(25.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신재생 에너지 사업’(15.6%)과 ‘사물인터넷(IoT)’(12.2%), ‘인공지능 로봇’, ‘드론 및 스마트카’, ‘신소재’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 기업들이 내수 또는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한 금융 소비자 데이터, 그리고 전기전자와 기계 산업을 한층 고도화 시키는 방법으로 10년 후 미래 시장 준비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반면 ‘고급 소비재’나 ‘가상 현실 및 웨어러블 기기’, ‘3D프린터’, ‘심층해양수’ 같은 아이템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은 곳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이들 아이템들은 최근 1~2년 사이 대중에게 인기를 끌거나 관심을 받은 아이템이지만, 실제 시장성과 사업 가능성에서는 한계 또한 명확한 특성이 있다. 우리 기업들 대부분은 눈 앞의 유행을 쫒기 보다는, 근본적인 차별화된 기술 마련을 미래 성장동력 확보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업종별 차별점도 눈에 띄었다. 금융 및 건설 유통회사처럼 내수 의존도가 높은 서비스업종의 기업들은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산업 강화에 관심이 높은 반면, 해외 매출 비중이 높은 제조업체들은 사물인터넷과 스마트카, 신소재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현재 주력 업종에 기반한, 다소 보수적인 경향은 우리 기업들이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자체 연구개발’(43.5%)이나 ‘공동투자 또는 인수합병(M&A)’ (37.0%)에 힘쏟겠다고 밝힌 것과도 같은 맥락이다. 대부분의 우리 기업들은 현재 주력 업종을 통해 갈고 닦은 기술력과 노하우에 외부의 창의력을 더해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고자 했다. 화려해 보이는 ’가보지 않은 길’ 보다는 ‘지금도 잘 하고 앞으로도 더 잘할 수 있는’ 돌다리를 건너는 모습이다. 

반면 정부의 연구개발 과제에 의존하거나 외부 기술 도입을 성장동력 확보 방법으로 꼽은 곳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기업들이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대부분 규제 제거(30.0%)나 신제품 신속출시 지원제도 마련(55.0%) 같은 ‘규제장벽 해소’가 대부분이였다. 과거와 같은 정부 주도의 직접적인 R&D지원, 또는 기술개발은 글로벌 경제 시대에 더 이상 통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이런 모습은 ‘성장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전략’을 묻는 질문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82.1%가 전문화와 다각화 동시 추진 의지를 밝혔고 15.4%는 전문화를 최 우선 과제로 들었다. 현 사업 기반을 보다 심화시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신중한 접근이다.

반면 정부의 연구개발 과제에 의존하거나 외부 기술 도입을 성장동력 확보 방법으로 꼽은 곳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기업들이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대부분 규제 제거(30.0%)나 신제품 신속출시 지원제도 마련(55.0%) 같은 ‘규제장벽 해소’가 대부분이였다. 과거와 같은 정부 주도의 직접적인 R&D지원, 또는 기술개발은 글로벌 경제 시대에 더 이상 통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