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국내 39개 대기업 설문조사]“서비스업이 新성장동력” 95%…“진행상황은 미흡” 87%
뉴스종합| 2016-05-16 11:39
성장 가능성 “통신·IT” 33%
의료·보건복지, 금융, 관광 順

금융서비스 경쟁력 높이기 시급
방송콘텐츠 해외진출 가장 유망
통신·IT, 의료·복지도 유망 업종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핵심 임원 대다수는 ‘서비스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돼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발전을 위해서는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CT) 등 이른바 ‘중간재형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에 정부 정책 목표를 둬야한다고 보는 기업들이 61.5%나 됐다.

16일 헤럴드경제가 창간 43주년을 맞아 국내 39개 대기업 CEO 및 재무ㆍ기획 임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서비스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돼야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94.9%에 달했다. 


다만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중요하다‘(84.6%)며 정부가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 한 분야를 집중 지원하는 것 보다는 ‘동시에 함께 지원하는 게 효율적’(82.1%)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들은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업의 신성장동력화 진행이 아직까지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조금 미흡한 수준’(61.5%), ‘매우 미흡한 수준’(25.6%) 등 부정적 답변이 87.2%로 나타났다.

향후 신성장동력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서비스업종으로는 응답자의 3분의 1이 ‘통신ㆍIT 서비스’(33.3%)를 1순위로 꼽았다. 정보통신기술(ICT)에 여전히 무궁무진한 기회와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판단이었다.

이어 ‘의료ㆍ보건복지 서비스’(23.1%), ‘금융서비스’(15.4%), ‘관광서비스’(10.3%)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의료ㆍ보건복지 서비스’의 경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업종 ‘2순위’라고 응답한 CEO들이 33.3%나 됐다. 


‘현 상황에서 서비스업 신성장동력화를 위해 어떤 업종의 경쟁력 제고가 가장 긴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금융서비스’(25.6%)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금융을 2순위로 꼽은 응답자도 28.2%로 1순위와 2순위 응답자를 모두 합칠 경우 가장 비율이 높았다. 정보통신과 의료ㆍ보건복지 분야의 높은 성장 가능성과는 별개로, 서비스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기 위해 경쟁력 제고가 긴요한 분야로 금융을 꼽은 것은 우리 경제 활력을 위해 금융서비스업 발전이 그만큼 시급하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경제의 혈류 역할을 하는 금융기관들이 미래 경제성장을 담보할 적재적소에 원활히 자금을 공급하는 한편, 위험관리 기능을 보다 철저히 해 자산의 부실을 막아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과 같은 국책은행들이 조선, 해운사에 대한 대출관리 부실로 인해 수조원의 손실을 떠안아, 결과적으로 국민경제에 부담만 지운다는 상황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관광 서비스’(17.9%)와 ‘통신ㆍIT 서비스’(17.9%), ‘의료ㆍ보건복지 서비스’(15.4%) 등도 ‘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업종’으로 금융서비스의 뒤를 이었다.

해외진출시 가장 유망한 서비스업종으로는 ‘방송 콘텐츠 서비스’(35.9%)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응답자의 3분의 1이 넘는 비율이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지목한 것이다. 최근 드라마 ‘태양의 후예’와 같이 잘 만들어진 방송콘텐츠가 해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면서 한류 열풍이 재연되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통신ㆍIT서비스’(28.2%)와 ‘의료ㆍ보건복지 서비스’(17.9%)는 해외 진출 유망 업종에서도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한편 우리 정부가 서비스업 신성장동력화를 위해 가장 역점을 둬야 할 정책목표가 무엇이라고 보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중간재형 서비스육성을 통한 제조업과의 선순환 성장구조 정착’(61.5%)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중간재형 서비스산업이란 제조업에서 중간재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 금융보험 등의 서비스업종을 가리킨다.

이어 ‘대외시장 진출 촉진을 통한 시장규모 확대’(30.8%)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고, ‘지역특화형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균형발전의 모색’은 2.6%에 그쳤다.

배두헌 기자/badhoney@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