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계의 패인에 대해서는 당내 조직력의 열세와 단일후보인 주호영 의원의 낮은 인지도가 첫 손에 꼽힌다. 친박 비판 이상의 대안적인 혁신 컨텐츠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비박계인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10일 본지 통화에서 “최경환ㆍ서청원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후에는 계파대결 양상이 완화됐는데, 끝까지 계파대결로 몰고 간 것이 전략적 실수”라고 했다. 이정현 의원이 계파간 비방전에서 비껴서며 호남출신ㆍ비엘리트 줄신임을 강조하는 포지티브 전략을 구사한데 반해 비박계에선 줄곧 ‘네거티브’ 전략으로 일관한 것이 공감을 얻는데 실패했다는 말이다. 김용태 의원은 “후보자 개인 역량이라는 요인과 친박 조직력의 압도적인 우위”를 패인으로 꼽았다. 또 다른 비박계 의원은 “대내외적으로 반대세력이 적지 않은 김무성 전 대표가 나선 것도 결과적으로는 표를 깎아먹었다”고 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 하 의원은 “아직 이정현 신임대표의 리더십은 확인된 게 없다”며 “중심을 잘 잡아갈지 얼마간은 지켜봐야 한다, 예단하긴 어렵다”고 했다. 김 의원은 “친박계가 최고위원을 장악해 여러 현안에 대해서 균형잡힌 시각을 대변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면서도 “이 신임대표가 험지에서 당선됐던 경험이 있는만큼 국민적 정서를 잘 읽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나 김무성, 유승민, 오세훈, 남경필, 원희룡 등 비박계 잠룡이 즐비한 상황에서 친박 패권주의가 강화되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대망론이 가시화되면 비박계의 유력 대권주자나 제 3의 중도세력을 중심으로 새로운 ‘헤쳐, 모여’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su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