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평소 운동과 담을 쌓고 지내는 사람이 중증 치매에 10배나 더 잘 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중증 치매 환자수는 술ㆍ담배를 거의 하지 않아 사회적 교류가 적은 사람에게서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설희 건국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2009∼2013년 서울시 광진구에 사는 65세 이상 주민 3만5721명 중 치매 진단을 받은 1409명의 진료기록을 분석했다.
한 교수팀은 치매 환자 1409명을 증상 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눴다. 증상이 가장 심한 중증(severe) 치매 환자는 554명이었다. 가벼운(mild) 치매 환자와 중간 정도(moderate)의 치매 환자는 각각 429명과 426명으로 조사됐다.
논문은 “중증 치매 환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령자, 여성, 저학력자, 흡연ㆍ과음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 신체 활동이 적은 사람, 신앙생활을 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다”고 기술했다.
중증 치매 환자수에서 성별로는 여성(454명, 81.9%)이 남성을 압도했다. 비흡연자(502명, 90.6%)가 과거 또는 현재 흡연자(46명, 8.3%)보다 10배 이상 많았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의 수(498명, 89.9%)도 과거 또는 현재 과음자(50명, 9.1%) 수의 10배에 달했다.
음주ㆍ흡연이 중증 치매 예방 효과를 나타냈다기보다 여성의 낮은 흡연ㆍ음주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 교수팀은 논문에서 “금주ㆍ신체적 비활동ㆍ종교 활동 미참여 등 ‘사회적 아웃사이더’라면 치매 진단 등 의료 서비스를 제때 받기 힘든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중증 치매 환자 554명 중 신체 활동이 적은 사람의 수는 509명(91.9%)이었다. 신체 활동을 게을리 하면 중증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 교수팀은 “혼자 사는 노인이 배우자와 함께 살거나 배우자 외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중증 치매를 가질 확률이 10배 이상 높았다”고 지적했다.
많은 나이, 저학력, 낮은 사회적 교류, 적은 신체 활동, 가족과 함께 거주 등이 치매가 초기 상태에서 진단될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인 ‘치매에 가장 취약한 도시 노인의 계층은?’ 논문은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영문 학술지 JKMS 최근호에 소개됐다.
iks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