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 비만 진료, 19세 미만 아동청소년만 증가
-소아비만 가장 큰 적은 ‘방임’…개선 시스템 필요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 서울 노원구에 사는 초등학교 6학년생 김모(12) 군은 할머니 이모(62) 씨의 보살핌을 받으며 살고 있다. 생활비를 벌기 위해 매일 새벽 나간 뒤 저녁 늦게 귀가하는 이 씨는 일 때문에 끼니를 제대로 챙겨주지 못하는 미안함에 김 군이 음식이라도 제때 챙겨먹을 수 있도록 용돈을 챙겨준다. 이런 생활을 한지 2년만에 키 172㎝의 김 군은 몸무게가 25㎏ 가까이 늘어난 98㎏을 기록했다. 적은 액수의 용돈에 맞춰 분식집과 편의점 등에서 음식을 사 먹은 결과다. 이 씨는 “매일 빠듯하게 생활하다보니 손자에게 충분한 용돈을 챙겨줄 수 없는데다 그동안은 무슨 음식이든 제때 끼니를 챙기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안도해왔다”며 “과일이나 채소처럼 건강한 음식 대신에 고열량의 쓰레기(정크 푸드)를 먹게 방치해 손자의 건강을 해쳤다는 생각을 하니 가슴이 아프다”고 했다.
28일은 세계 기아 해방의 날. 사회 전반적인 경제 수준 향상에 따라 저소득층의 절대 빈곤에 따른 기아 퇴치 및 해방과 관련된 문제는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소득 및 학력 수준에 따른 영양 불균형 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불규칙적인 식습관과 영양 불균형에 따른 비만 아동 증가가 사회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28일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따르면 부모의 소득수준 및 학력이 낮을수록 아동의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다.
기아로부터 해방되자, 오히려 비만문제가 사회적 화두로 되고 있다. 저소득 계층의 아이들이 비만에 걸릴 확률이 크다는 조사가 나와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해 보인다. 사진은 비만 이미지. |
최근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가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생 43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3학년생의 경우 고소득가정(4분위)은 3.5%가, 저소득(1분위)가정은 6.1%가 비만이었다. 이 수치는 고소득가정 자녀의 약 2배에 가까운 비율이다.
부모의 학력에서도 자녀의 건강불평등 현상이 나타났는데 초등학교 3학년생을 비교했을 때 모친의 학력이 대졸일 경우 3.7%만이 비만을 겪고 있는 반면, 고졸일 경우 그보다 많은 6.4%가 비만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 참가 연구원은 “학력과 부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부모의 관심이란 것도 연구 결과를 통해 드러났다”며 “저소득층 부모들의 경우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의도치 않게 자녀를 방임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아동비만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 밖에도 한국비만학회가 최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소득상위 25%의 아동청소년의 비만율은 5.5%, 소득하위 25%의 아동청소년 비만율은 9.7%로 나타났다. 특히 취약계층아동은 운동 및 균형잡힌 영양소 섭취를 위한 식재료 구매 등에 필요한 건강관리비용을 부담하지 못하는 이유로 비만율이 더 높았다.
저소득 아동청소년의 비만 문제는 환자 개인의 건강을 위협한다는 측면 뿐만 아니라 의료비 지출로 인한 경제난 악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이 더 큰 문제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 19대 국회 당시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문정림 새누리당 전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년간(2010~2014년) 아동청소년의 비만진료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사회적인 문제가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 진료비가 감소한 것에 비해 19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경우 2010년 대비 2014년 비만 진료비는 82.9%나 늘어났기 때문이다.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비만의 경우 취업 및 사회생활의 어려움을 초래해 ‘빈곤의 악순환’을 유발하는 사회구조적 문제로도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이제훈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회장은 “아동의 건강불평등은 빈곤이 세대 간 반복되는 현상의 기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과 지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마련과 협력적 개입이 필요하다”며 “특히 건강은 경제, 교육, 의료, 복지 등 사회 전반과 관련이 있는 문제인 만큼 가정, 학교, 민간, 정부 모두가 아동의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해 협력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