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與 비대위 구성도 ‘올스톱’, 힘 실리는 분당(分黨)
뉴스종합| 2016-12-05 09:17
[헤럴드경제=이슬기ㆍ유은수 기자] 새누리당 비박(非박근혜)계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하 탄핵안) 표결에 사실상 조건 없이 동참하기로 하면서 당 지도체제 개편에도 급제동이 걸렸다. ‘폐족(廢族)’ 위기에 몰린 친박(親박근혜)계 지도부가 자진사퇴할 가능성은 ‘제로(0)’에 가까워졌고, 그나마 물망에 올랐던 비상대책위원장 후보들은 모두 손사래를 쳤다. 결국, 탄핵안 표결 후 비박계가 대거 탈당해 제3지대에 새집을 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사진=새누리당 중진의원 6인 협의체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회동을 가지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원유철, 김재경, 정우택, 주호영 의원)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원유철ㆍ주호영 의원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6인 협의체’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원장 논의를 무기한 중단하기로 했다”고 했다. 양 계파 4선 이상 중진의원이 3명(친박 원유철ㆍ정우택ㆍ홍문종, 비박 김재경ㆍ나경원ㆍ주호영 의원)씩 모인 6인 협의체는 비대위원장 인선 등 지도체제 개편을 관장해 온 핵심 논의기구다. 이곳에서마저 교류가 끊기면 새누리당의 심리적ㆍ물리적 분당이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230만명이 모인 전날 촛불집회가 이들의 운명을 갈랐다.

주 의원은 “전날 (촛불집회 직후) 비박계가 탄핵안 표결 동참 결정을 내리면서 변수가 많아졌다”며 “(탄핵안 표결) 이후에 다시 생각해보자는 것”이라고 했다. “탄핵안 표결 절차에 들어가면 여러 상황 변동이 있을수 밖에 없기에 지금 어떤 분을 (비대위원장 후보로) 선정한다는 것 자체가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이야기다. 결국, 정치권의 시선은 이정현 대표를 위시한 친박계 지도부의 사퇴와 그동안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된 인사들의 새누리당호(號) 탑승 여부에 쏠린다.

앞서 친박계 조원진 최고위원은 ▷친박계 지도부의 사퇴와 ▷비박계 비상시국위원회의 동시 해체를 주장하며 ‘탄핵안 표결 불참’을 조건으로 내건 바 있다. 조 최고위원은 당시 “(비박계가) 탄핵안 표결에 들어가면 지도부는 사퇴할 수 없다”고 했다. 탄핵안 가결 시 박 대통령이 즉시 ‘직무정지’ 상태에 돌입, 청와대ㆍ친박계의 방패가 모두 사라질 것을 고려하면 이 대표로서도 마냥 당권을 내려놓을 수 없다. 이 대표의 21일 자진사퇴 선언 철회 가능성마저 전망되는 지점이다.

이 대표가 당초 선언대로 21일 사퇴한다 하더라도, 서청원ㆍ최경환 의원 등 친박계 핵심의원들이 ‘친박 우호적 비대위 구성’을 배후에서 압박할 공산도 크다. 6인 협의체가 무력화하고, 의원총회 등에서 양측이 정면충돌하는 시나리오다. 김형오ㆍ정의화ㆍ박관용 전 국회의장, 조순형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 등 비박계 추천 비대위원장 후보들의 직(職) 수락 여부도 관건이다. 주 의원은 이날 “(비대위원장 후보 4인에게) 연락을 드렸는데, 모두 고사하셨다”고 했다. 진퇴양난이다.

결국, 정치권에서는 새누리당의 분당(分黨)이 현실화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국민의 뜻을 따르겠다”며 탄핵안 표결 동참까지 선언한 마당에, 비박계가 더 이상 친박계와 ‘불편한 동거’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국민의 시선을 의식해 비대위원장직 제안을 거절한 원로들도 ‘비박 신당(新黨)’에는 정치적 부담을 덜고 동참할 수 있다. ‘중도세력의 빅텐트(big tent)’를 자처하는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 제3지대 세력과 비박계가 규합할 가능성 또한 크게 점쳐진다.

yesyep@heraldcorp.com
랭킹뉴스